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게임 조절에 대한 자율적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주요 변인으로 자율성과 마음챙김을 상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연구자가 구성한 자율성 경험과 게임 조절 동기, 문제적 게임 이용, 마음챙김의 관계가 실제로 적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사연구를 통해 탐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의 전반부에서는 자율성 경험이 게임 조절 동기를 매개로 문제적 게임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청소년 68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 결과, 문제적 게임 이용을 예측하는 모형에서 모든 경로와 자율적 동기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자율성 경험은 게임 조절에 대한 자율적 동기를 증진시켜서 문제적 게임 이용을 감소시키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1의 후반부에서는 마음챙김이 자율성 경험을 조절하여 자율적 게임 조절동기를 더욱 높여 주는지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율성과 마음챙김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높은 수준의 마음챙김 경험은 자율성 경험의 효과를 높여 자율적인 게임 조절 동기를 증진시킴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을 통해 확인된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해 실험을 통해 인과성에 대한 증거를 추가하였다. 게임 중독 개선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 44명을 대상으로 자율성과 마음챙김의 주효과와 자율성과 마음챙김의 상호작용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자율성과 마음챙김 경험이 자율적 동기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다. 마음챙김 경험이 높은 조건에서 자율성 경험이 높을수록 게임 조절에 대한 자율적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세부 결과들을 선행 연구와 임상적 개입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ssumes autonomy and mindfulness as major variables for enhancing autonomous motivation to regulate games among adolescents, and verifies their relationship through survey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Study 1 aims at exploring whether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of autonomy, motivation for game regulations, problematic game use and mindfulness, which are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practically applied through survey research. In the former part of Study 1, a model for the impact of autonomy experience on problematic game use with a mediation of motivation for game regulations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research with 681 adolescents, in a model of predicting problematic game use, mediating effects of all paths and autonomous motivation were significant. All these findings showed that experience of autonomy improves autonomous motivation for regulating games, and reduces problematic game use significantly. In the latter part of Study 1,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mindfulness increases autonomous motivation to regulate games by regulating autonomy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utonomy and mindfulness. In other words, high mindfulness enhances autonomous motivation to regulate games by increasing the effect of autonomy experience. In Study 2, through the experi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were confirmed in Study 1, proofs for causality were added. A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game use to examine whether these variables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the prevention and therapy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motivation to regulate games. The impact of autonomy and mindfulness experience on autonomous motivation for game regulations, interest and value evaluation were investigated. For 44 adolescents who took part in a group program for improving game addiction, major effects of autonomy and mindfulnes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utonomy and mindfulnes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tud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utonomy and mindfulness experience on autonomous motivation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high level of mindfulness experience, the higher the autonomy experience was, the higher was the autonomous motivation to regulate games. The detailed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and clinical interv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