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수형자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탄력성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 구치소 수형자 12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ECR-R), 희망(DHS-K), 탄력성(CD-RISC)을 측정하였다. 각 변인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으로 성인애착의 불안차원, 회피차원이 희망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여 희망을 매개변인으로 간접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회피애착 차원과 불안애착 차원간의 관계는 서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심리적 탄력성과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로 나타났고, 희망은 불안애착 차원, 회피애착 차원과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심리적 탄력성과는 유의한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불안애착 차원, 회피애착 차원이 희망을 매개로 심리적 탄력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만이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수형자의 심리적 탄력성을 위한 개입에서 희망을 주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희망을 주기 위한 교정 시설 및 교도관 차원에서의 개입 방법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형시설 차원의 수형자 관련 제도개선 및 상담적 개입방법과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hope as a mediator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and resilience. For the study, 130 inmates in a detention center in Korea completed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hope and resilience. Pearson correlations were examined among the study variables. Hope was entered as the mediator in the model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odel fit indices were verified. Bootstrapping Analyses were used to prove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avoidant attachment were not significant, but both were inversely related with hope and resilience. Hope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adult attachment dimensions b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Results indicated that hope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resilience as well as the link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resilience. This study calls for the focus on hope to facilitate resilience. Policy adjustments for the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prison officers ar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wit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167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