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 실태 및 피해 유발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yber Bullying Victimization
조윤오 ( Youn Oh Cho )
UCI I410-ECN-0102-2014-300-00162104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카카오톡이나 악성 댓글 등을 이용한 사이버불링(cyber-bullying)이 새로운 학교폭력 수법으로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이버불링이란 인터넷 이메일, 휴대전화 등의 새로운 전자장치를 이용해 모욕적인 사진이나 글을 피해자에게 보내 사이버 공간 내에서 악의적으로 특정인을 괴롭히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 중 고 학생 2,044명을 대상으로 2012년에 5월 29일부터 6월 15일까지 실시된 학교폭력 관련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사이버불링 실태와 그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초 중 고생 2,0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했다. 2012년 5월 29일부터 2012년 6월 15일까지 약 보름 동안 총 23개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고, 사이버불링 발생의 높은 왜도(skewnes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단계에서 포아송 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했다. 분석 결과, 전체 표본 청소년 중 사이버불링을 직접 경험했다고 응답한 수치는 80명(약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포아송 회귀분석에서 핵심 변수로 성별(남자)과 부모의 인터넷 통제력, 전통적 학교폭력 가담행위(피해 및 가해행위)가 사이버 불링 피해 점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의 인터넷 통제 행위가 자녀의 사이버불링 피해를 감소시키는 일종의 보호능력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고, 오프라인 내에서의 학교폭력 가담행위가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에게 온라인 공간이나 SNS 상에서 사이버불링 피해를 야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인터넷 통제력을 강화시키고, 오프라인 상의 전통적 학교폭력 가담행위자를 대상으로 한 올바른 사이버 활용법 교육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risk factors that affect cyber bullying victimization. With the rapid propagation of smart phone in South Korea, there have been unprecedented risks for youth of cyber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The current study utilized a sample of 2,04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by the ai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eoul,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conducted survey from May, 29, 2012 to June, 15, 2012 toward 2,044 youths and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 report questionnaires during their class time. This study used Poisson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9.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 order to find cruci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cyber bullying victimiz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depended on the key independent factors which included gender, age, income, internet use, parental monitoring attitude, and traditional bullying involvement.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d that approximately 4% of respondents reported having been involved in cyber bullying as victim during previous six months. In addition, the Poisson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tudents who had increased level of traditional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were more likely to be a cyber bullying victim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Contrary to previous literature reviews, the use of internet, parental internet supervision, and school aggress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are related to cyber bullying victimization. Further policy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