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8.250.235
18.218.250.235
close menu
}
KCI 등재
국민불안 해소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근혜정부의 안전정책을 위한 제언-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ducing Anxiety Among Citizens in Korea
이건 ( Geon Lee ) , 김주애 ( Ju Ae Kim ) , 류현숙 ( Hyeon Suk Lyu )
UCI I410-ECN-0102-2014-300-001611805

박근혜 정부는 출범초기부터 4대악 척결 등 국민들의 안위를 위한 안전정책을 국정의 우선순위로 공표하였다. 이는 수많은 위험요소로 인해 국민들의 불안감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민안심을 담보하지 않고서는 진정한 ``국민행복시대``를 실현시킬 수 없다는 현실 인식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만연하고 있는 12개의 위험요소를 설정하여 사람들이 어떤 위험요소로 인하여 불안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위험요소들 간 수준을 비교해 국민들의 불안(또는 안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국민들이 가장 불안해하는 것은``아동성폭력``이었으며 다음으로 ``학교폭력``, ``강력범죄``, ``식품안전사고``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위험요소들에 대한 불안감에 일관성 있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정부의 정책적 활동보다는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신뢰감으로 나타났으며 매스컴에서 이루어지는 보도의 인식도 불안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실증결과를 토대로 박근혜정부의 안전정책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From the initial stage, the Park Guen-hye government has been inaugurated while setting its priority as a 'security policy' for the sake of the public's safety. This statement reflects the recognition of the current fear from numerous risks so that it would not be feasible to gain genuine golden days without guaranteeing the citizens' safety. Thus, this study primarily focused on ferreting out the kinds of risky factors that concern South Korean society today. This study breaks risk factors into four main categories, made up of a total of twelve factors (sexual assaults, child molestation, family violence, school violence, danger from food safety, violent crimes, general accidents, car accidents, accidents from equipment and facilities, industrial disasters, pollution and natural disasters). The element which the public fears the most is found to be sexual assaults for children followed by school violence, sexual assaults, violent crimes and food safety violations. Secondly, this study analyses the interplay between the various factors such as social, cultural, governmental, and institutional matters, and the level of public anxiety. As a result, there is little alleviation of public anxiety regardless of the government's efforts (e.g. cooperation of public or private societies, financial or humanitarian support for safety and so on) to do so. However, it appears that the public trust in government does have certain degree of a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s mitigation of those risky factors. Additionally, those in the public that have more media exposure tend to be the most anxious group. Based upon aforementioned results, we discuss policy implications in the paper.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조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