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한국어 교재의 발음교육 방안 연구 -발음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teaching methode of Korean pronunciation for Korean language textbooks
유현정 ( Hyun Jung Ryu )
한성어문학 32권 489-511(23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2068883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교육 방안 마련을 위해 현행 한국어 교재의 발음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외국어 학습에서 발음은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단계인 동시에 고급단계의 학습자에게도 여전히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초급 단계에서부터 효과적인 발음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내용 선정 및 교육방법의 고안이 필요하며,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의 발음 부분의 교육내용 구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교재들은 주로 의사소통 중심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기능이 통합된 교재로 발간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통합교재 중 발음교육을 위한 음운 변동 규칙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한 교재는 많지 않다. 대부분의 통합 교재는 초급 교재의 첫 부분에서 모음, 자음, 음절 구성 등 기본적인 발음과 음운에 대해 간략하게 제시하고 있을 뿐 본문에서 한국어 발음 및 음운현상 등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통합 교재와 별도로 한국어 발음을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 발음 교재가 출간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선정한 통합교재를 통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별도로 발음 교재를 학습하기는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발음 교육은 주로 교사의 발음이나 교재의 녹음자료를 따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교사의 입장에서도 부담이 높으며 학습자 또한 발음 부분 학습에서 어려움을 겪게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의 발음교육 방안을 제안함에 있어, 먼저 기존 교재의 발음교육부분을 교육 내용과 교육 방식의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발음은 초급 단계에서 고급 단계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각 단계별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발음교육 내용과 발음교육 방법에 대한 일관성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교수요목을 구성하는 것에 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by analyzing the pronunciation parts of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It`s needed to devise the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from the entry-level and then compose the pronunciation par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because the pronunciation is the most basic and fundamental step in studying a foreign language and is still felt to be difficult even for a student in an advanced level. Most of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aims integrated capability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nd doesn`t give the detail informations about Korean pronunciation as the phonological rules and phenomena . It makes both teachers and students feel difficult to teach and study with that and mainly dependent on just repeating the teacher`s pronunciation or recorded one.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n Korean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 which can solve these problems by addressing the issues and proposing the improvements in 2 kind of areas :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Teaching pronunciation needs a step-by-step and continued training program from an entry-level to an advanced level which can be made by establishing consistent standard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 of pronunciation for each level and by composing the syllabus for the textbook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