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소리에 비유한 경우에서는 물계자의 일화가 그 효시라고 볼 수 있으며, 다양하고 세분된 정서로 표현되어 문장을 이끌고 있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 거문고와 물소리의 시청각적 맑음을 통해 마음의 정화를 꾀하거나, 자신의 처지를 반영하기도 하고, 의인화된 표현도 발견되고 있다. 바람소리에 비유한 경우에서는, 바람·자연과 사물과 거문고에 부딪히는 소리 등을 표현하여 작가 자신도 자연과 일체가 되고 싶은 심회도 드러내 보이고 있다. 바람과 물소리에 비유한 경우 중에는, 거문고 소리는 맑고 그윽하다고 하였으며, 소리가 옛 뜻에 부합되면, 심신이 맑아지고 가볍게 여겨진다고 하고 있다. 사람 목소리에 비유한 경우에서는, 글 읽는 소리와 목소리의 억양을 거문고 소리에 비유하기도 하였다. 기타의 경우에서는, 시상에 풍경화를 그리기 위한 경우와 현악기의 공명이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한편, 청각적 감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의성어가 연상되게 하고, 음악외적 이면을 심화하여 표현하기도 하고, 거문고의 음향과는 거리가 먼의성어로 표현하기도 했다. 그리고 자연과 거문고 울림의 추구하는 바가 상통하고 있음을 표현한 점도 발견되고 있다. 백결선생의 방아 찧는 곡조를 연주했다는 고사를 인용한 문장도 있다. 또 자연의 음향이 어느 악기연주보다도 심신이 맑고 깨끗해진다고 하였다. 이는, 거문고 울림이 자연의 소리에 가까워야 된다는 경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신성이 부여되지 않은 연주는 불필요한 연주로 표현한 경우도 있다.
When compared to the sound of water the anecdote of general Mulgyeja can be seen as the prototype, the point that it leads the sentence through expression with varied and fine-grained emotion has been confirmed. Through audiovisual serenity of Geomungo and water sound it is designed to seek the purification of the heart, and to reflect their plight, and their anthropomorphic representations have been found. When compared to the sound of the wind, through expression of sounds resulting from the wind`s crashing into the nature and objects with Geomungo the artist himself also wishes to show his own emotion to be united with the nature. Among when compared to the wind and the sound of water, the Geomungo sound was said to be clear and graceful, when the sound meets the old intention, the mind and body has been considered to be clear and light. When compared to the human voice, the text reading voice and voice intonation have been also compared to the sound of Geomungo. In other cases, the case to draw the landscape in a poem image and the resonance of strings varies depending on the place are highlighted.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auditory impressions has reminded us of onomatopoeia, the hidden side out of the music has been also intensified and expressed, and it has been often represented in onomatopoeia far from the sound of Geomungo. In addition the point has been found that the nature and resonance of Geomungo have something in common to seek. There is also an excerpt of the sentence to quote the anecdote that the teacher Baekgyeol was playing the tune to beat rice in a mortar. In addition, the natural sound has been said to make our mind and body clearer and cleaner than playing any other musical instrument. This seems to be seen to reflect the ground that the sound of Geomungo has to be near the sound of the nature. And the performance spiritually not granted has been also expressed as unnecessary one in some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