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954년부터 1960년까지의 대구경북지역 신문소설의 전개양상을 분석하여 전후 지역신문소설에 나타난 작품적 특성 및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김말봉과 이봉구의 전후 신문소설들은 반공 이념과 친미, 대구경북지역 기독교 전통에 호응하고자한 계몽적 소설이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낙훈 <금고기관>, 류일지 <괴어괴담 전등야화>는 중국 명청대의 괴담으로 현실 도피를 통해 독자적 위안과 즐거움을 제공함으로써 전근대적 가치관을 옹호하였으며 지역 군소 작가인 홍영의, 최영하는 타자화된 여성의 몸과 욕망, 그리고 불교유래담 및 능금 농원과 유적지를 배경으로 성적 욕망과 함께 지역 전통문화적 탈주선을 따라 가고자 하였다. 또한 곽학송, 손창섭, 오상원, 박경리 등 서울의 신예작가들은 기회주의적 태도와 여성의 혼사담과 관련된 전후 사회 새로운 애정 모럴을 제시하고 원조경제시대의상이군인, 고아문제, 고아원 운영 실태, 민족 문제 등 사회문제를 비판하고자 한다. 1950년대 반공과 친미 등 전시 이데올로기들은 이 같은 지역작가의 새롭고 다양한 흐름 속에서 제한받거나 유보받게 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대구경북지역 신문소설들은 서울지역에 비해 애정, 사회, 역사 괴기 등 연재를 통해 전후사회의 반공과 친미 위주의 사회 계몽의 측면을 반성하는 결과를 낳게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본격적인 전후 대구경북지역 신문소설의 교차문화적 글쓰기의 분석과 전전세대와 전후 신예작가, 중앙과 지역문화가 교차되는 지역의 문화 횡단적(transcultural) 담론 연구가 가능해 질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 of the newspaper stories of Daegu and the Gyeongbuk Area in 1954-1960. The local newspaper has been underestimated until now, in comparison with ``center``, so called seoul district. therefore, but this local study should put specially on the newspaper stories of Daegu and Gyeongbuk that had worked as a temporary center during korean war and post war. Pre war -aged Seoul`s novelists usually tried to brighten the korean people with the american or western culture and anticommunistic consciousness. Kim MalBong endeavor to represent the envy and esteem on the American culture and territory with christianity. Lee Bong Gu tries to epiphany catholic`s idea and there were no reasonable basis. And local novelists ; Hong Young Ui, Choe Young Ha, Seong Nak Hun, Lu Il Ji`s newspaper stories were not modern but aboriginal, Theirs stories were filled with east asian and old korean imagination : old asian religious faith and grotesque, lust, mysterious phantasy. These stories symbolized the post war`s local people`s anxiety and desire and needs. Although, and also being contented with unbelievable plot and characters, local readers were pleased with them. On the other hands, new young writers of 1950`s : GwangHakSong criticized the American military support system for korean people in his and Bak GyeonRi, OhSangWon tried to emphasis the civilian right in , etc. these stories being new, having heredity not pure. The stories of DaeGuGyeongBuk local newspaper in 1954~1960 were contrasted with Seoul`s main newspaper`s stories in three point : not enlightening and ideological but having diverse native sensible those. New young writers of post war utilized these DeaguGyeongbuk newspapers as a place of debut of professional newspaper writer. and local writers utilized them as a space of energizing singular writing. In conclusion, from now on, more delicate and particular studies of these newspaper`s discours with the study of serial novels of DaeguGyeongbuk Newapaper in 1954~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