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8.170.186
18.118.170.186
close menu
}
KCI 등재
환인(桓仁) 및 집안(集安) 도읍기(都邑期) 고구려(高句麗) 성(城)과 방어체계(防禦體系) 연구(硏究)
A study of the fortress defense system in early Koguryo
양시은 ( Si Eun Yang )
영남학 24권 41-86(46pages)
UCI I410-ECN-0102-2014-900-002081949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조사된 고고학적 자료를 근거로, 桓仁과 集安 도읍기 고구려 성의 분포 양상과 방어체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桓仁 지역에서는 고구려 전기 유물이 출토되는 대형 초석 건물지가 발견된 五女山城이 왕성으로 활용되었고, 下古城子城은 축조 시기가 상대적으로 늦은 것으로 판단 하였다. 集安 지역의 國內城은 성벽 토층과 내부 건물지 조사 결과를 참조하여 현재의 國內城 성벽이 4세기 이후에 축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丸都山城은 비록 4세기대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지만 여러 문헌 기록이나 <관丘儉紀功碑>를 통해 3세기에는 축조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국내성이 축조된 4세기 이전까지는 평지성과 방어용 산성의 조합이라는 고구려의 도성제는 구축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고구려는 수도 외곽에 일찍부터 산성을 축조하였으며, 멸망기까지도 산성을 이용한 방어체계를 적극 활용하였다. 이른 시기의 고구려 성은 수도 주변에 국한하여 분포하고 있으며, 군사방어를 위한 산정식 석축산성이 주로 축조되었다. 集安 지역의 경우에는 주요 길목에 관애(차단벽)를 설치함으로써 수도를 방어하고 있어 특징적이다. 4세기 초 고구려는 西安平, 樂浪郡, 帶方郡과 玄도城을 차례로 점령하여 遼東과 평양지역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영토가 확장됨에 따라 고구려성의 수가 증가하고, 중앙집권체제 내에서의 효율적인 지방 지배를 위한 치소성이 등장하였다. 치소성은 행정관청을 갖춘 성으로, 기존의 산정식산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근이 쉽고 규모가 큰 포곡식산성을 활용하였는데, 성 내부에서는 기와가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포곡식산성은 성 내에 계곡을 포함하고 있어 수원이 풍부하고 공간이 넓어 많은 병사가 장기간 주둔할 수 있어 군사방어적인 목적에도 부합한다.

In the early Koguryo, fortresses were built and used in and around Hengren(桓仁) and Jian(集安) which was the capital city. These fortresses were clustered around the capital, most of which were mountain fortresses encircling a mountain summit used for military defensive purposes. The existence of a fortress on the plain ground in the Hengren phase is still unclear. Nonetheles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Wunu Mountain fortress(五女山城) was used for important purposes since Koguryo first emerged as a state. I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in this fortress not only stratigraphical evidence of the early phase of Koguryo but also a large building foundation including foundation stones for a pillar were identified. In Jian, the second capital of Koguryo, the Guonei stone-walled fortress(國內城) and the Wandu Mountain fortress(丸都山城) are located. In the Guonei stone-walled fortress fine-clay pottery made on a turn table was found in one of the layers inside of the fortress wall. A cirrus design roof-end tile and celadon porcelain vessels from the East Jin period were found in the lowest layer. Based on this, the Guonei stone-walled fortress appears to have been built later than the 4th century. Thus, the capital fortress system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n earthen-walled fortress on the plain ground and a mountain fortress was unlikely to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first phase. In the 4th century, Koguryo expanded its territory and attempted to extend its power to the Liaodong peninsula(遼東半島) and Pyongyang. In the mid 4th century, the Gaoer Mountain fortress(高爾山城) was built in Fushun(撫順) to be used as a center in defending the northwest area of Koguryo. In this phase, Koguryo fortresses increased in number with the expansion of the Koguryo territory, and administrative fortresses were built to effectively govern local areas under the centralized governing system. Administrative fortresses, or those having administrative offices in them, took the form of a mountain fortress encircling a valley or a fortress built on the plain ground along a riverside for easy acc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