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탐구 활동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탐구 활동은 학생들에게 과학적 태도 및 창의성과 과학탐구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운영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학교에서는 수행 정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번 연구를 통해 자유탐구 활동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에 위치한 D중학교 1학년 4개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중 2학급은 실험집단으로 자유탐구 활동을 8주간 수행하였고, 다른 2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적용하였다. 두 집단 모두 과학 학습 동기와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유탐구 활동은 과학 학습 동기의 하위 범주인 과학에 대한 자아 효능감, 가치, 능력 중심목표 지향, 학습 중심목표 지향에 대해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5). 하지만 과학에 대한 피상적ㆍ심층적 전략, 자아개념 능력 및 과학에 대한 기대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05). 둘째, 자유탐구 활동은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대해서 과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5). 하지만 과학에 대한 인식 범주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05). 자유탐구 활동은 과학 학습동기 와 과학에 대한 태도 그리고 과학 흥미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불구하고, 과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갖게 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의 보완을 위해 다양한 자유탐구 활동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탐구 과정 요소를 안내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free inquiry activiti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of middle school 1st graders. The subjects were 4 classes of the 1st graders: 2 classes of the controlled group and 2 classes of the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in D middle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A pre-test and a post-test on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affective domain of science were carried out for both groups. The free inquiry activities were implemented for 8 weeks on the experimental group on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free inquiry activities generall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category of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he middle school 1st graders(p <.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subcategories as the superficial and in-depth strategy, self-concept ability, and expectation of science(p >.05). Secondly, the free inquiry activities partiall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ffective domain of science of middle school 1st graders. Although the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interest in science and the scientific attitude among the subcategories of the affective domain of science(p <.05), it did not have a noticeable influence on the category of the perception of science(p >.05).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invigorate the free inquiry activities as the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ome subcategories of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middle school 1st graders. However, a further plan is required to have a wide range of free inquiry activities since it is beyond the ability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categories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the students including the superficial and in-depth strategy, self-concept ability, and expectation of science with the short-term free inquiry activities only. It is also requir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that can show them the elements of the inquiry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