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Candidate
영어의 간섭현상 분석을 통한 독일어 발음 및 어휘 교육
German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Education through Negative Effects Analysis of English Learning Experience and Knowledge
성지혜 ( Ji Hye Sung ) , 김용경 ( Yong Kyung Kim )
UCI I410-ECN-0102-2014-300-001806037

한 사람이 모국어가 아닌 여러 언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한국의 경우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의무적으로 학습하며, 중등학교에서 영어 학습과 더불어 제3언어를 선택적으로 학습한다. 따라서 한국의 외국어 학습자는 기본적으로 최소한 세 가지 언어, 즉 한국어와 영어, 제3언어를 배우는 다중언어 학습자라 할 수 있다. 최근 기존의 이중 언어 및 제2언어 학습과는 구별되는 다중언어 및 제3언어 학습의 특수성을 고려한 새로운 모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 모형들은 학습자의 연령, 학습 동기, 메타언어적 지식, 학습 전략, 학습외부적 요인, 언어 간 전이 등 양적으로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이중 언어 및 제2언어 학습과 구별된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 간 전이, 그 중에서도 제2언어 학습 경험과 지식이 제3언어 학습에 미치는 간섭현상에 주목하여 학습자의 영어 학습 경험과 영어 지식이 독일어 학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발음과 어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통시적 관점에서 독일어와 영어는 공통조어(인구어족)에서 파생된 언어들로 유사한 점이 많은 반면에, 상이한 역사적 변천과정으로 인해 차이점 또한 존재한다. 특히, 두 언어 간 차이점은 한국인 독일어 학습자들이 쉽게 오류를 범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독일어 발음 및 어휘 학습에서 영어의 간섭현상을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향후 영어 학습 후 제3언어로서 독일어 교수ㆍ학습법 구상을 위한 초석으로서 의미가 있겠다.

People use many languages in addition to their mother tongues. In Korea, students learn English obligatorily in an elementary school and also learn a third language with English. Most Korean students are multilingual learners, who learn at least three languages(Korean, English, the third language such as Japanese, Chinese, French and German). Recently new models have been suggested, which reflect special characteristics of multilingual and the third language learning. These models distinguish existing bilingual models from second language learning ones qualitatively(age, motivation, metalinguistic knowledge, learning strategy of learners, interlanguage transfer and so on) as well as quantitative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negative effects of English(L2) learn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on German(L3) learning, focused on the interlingual transfer(German as Foreign language after English). Korean students usually have difficulty in pronouncing German which has the same spelling as English, but different phonetic values. They also have difficulty in learning German vocabulary which has similar forms to English vocabulary, but different meanings. From the diachronic view, German and English are derived from Proto-Indo-European language. While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re are also many differences because of different historical transition. Above al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ause Korean German learners to make mistakes. Therefore, analyzing negative effects of English on German learning systematically is meaningful for planning to teach and learn German as the third language after Englis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