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공간정보 오픈소스 활용 설문조사에 따른 현황 분석
Questionnaire Analysis of Geo-Spatial Open Source Application
유희영 ( Hee Young Yoo ) , 이기원 ( Ki Won Lee ) , 이광재 ( Kwang Jae Lee ) , 김용승 ( Yong Seung Kim )
DOI 10.11108/kagis.2013.16.4.106
UCI I410-ECN-0102-2014-900-001866008

오픈소스는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분야에 빠르게 적용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현재 많은 나라에서 활발하게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유사한 인프라 환경을 갖춘 다른 국가들에 비해 아직 공간정보 분야에서의 오픈소스 이용이 활발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연구는 공간정보 분야 전문 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정보 분야에서의 오픈소스에 대한 인식과 활용 현황, 발전 가능성과 방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 결과를 요약하면, 다수의 사람들이 오픈소스를 사용해본 경험은 있으나 라이선스나 규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경우는 거의 없었다. 한편 오픈소스 활용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은 참고자료의 부족, 유지보수의 어려움, 지원의 부족, 기술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것이었다. 현재국내에서는 일부 분야에서 몇몇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나 라이브러리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많은 공간정보 연구자들이 앞으로 빠른 시일 내에 오픈소스를 사용할 계획이 있고 오픈소스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앞으로 사용 편의성, 참고자료를 보완하고 기술 신뢰성과 정책적 지원이 확보된다면 앞으로 공간정보를 다루는 오픈소스 분야가 크게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As open source can reduce costs and apply to various fields rapidly, many countries have actively adopted open source. However, geo-spatial open source in Korea is not actively promoted yet comparing to other countries having similar infra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 of geo-spatial open source, utilization statu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and future direction using questionnaire survey completed by experts dealing with spatial information.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many experts have experiences of using geo-spatial open source but they got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open source license or regulations and only a few people got professional training. Insufficient references, the difficulty of maintenance, lack of support and low technical reliability have hindered the adoption of geo-spatial open source. Only some part of geo-spatial open source software or libraries in some field have been used in the country. However, many researchers rate highly development potential and plan to use geo-spatial open source soon. If user`s convenience, reference materials, technical trust and policy support are improved, open source field for spatial information will be developed greatly in the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