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단위사업안이 고려되는 유역치수계획에서 경제적 효율성이 높고 최적규모를 나타내는 최적 투자대안의 결정은 사업의 시행여부를 판단하는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 치수계획 수립시 투자대안은 다수의 단위사업간 관계를 고려하여 1개 이상의 단위사업으로 조합된 의사결정안을 의미하며, 이때 홍수저감시설의 종류와 규모별로 구성되는 단위사업의 수가 많아 최적 투자대안을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최적 투자대안을 결정하기 위하여 홍수저감시설 중 댐증고사업을 대상으로 경제성 분석을 통해 최적규모를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산강 유역의 4개 댐의 증고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단위사업별 홍수저감량을 산정하는‘시나리오1’과 단위사업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투자대안별 홍수저감량을 산정하는‘시나리오2’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시나리오2’에 의해 최적 규모를 결정하는 것이‘시나리오1’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유역 전체의 상황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경제적인 규모결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achieve economic efficiency in a basin flood mitigation planning,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optimal sizes of investment alternatives. Investment alternative means decision proposals composed with one more individual proposals, and it is not easy to determine an optimal one because there are so many individual proposals.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approach of determining the optimal project size for raising dam height. This study applies two scenarios to determine investment alternatives for the 4 dam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Scenario1’ calculates flood mitigation for each individual proposal. And ‘Scenario2’calculates that for each investment alternative composed with one more individual proposals. As the results, ‘Scenario2’ is better than ‘Scenario1’ for selecting a economically optimal dam height considering watershed conditions comprehens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