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6
18.97.14.86
close menu
인성 개념 및 인성의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고찰
"In-sung" Concept and the Possibility of "In-sung Education"
홍석영 ( Suk Young Hong )
현대교육연구 vol. 25 183-198(16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40397

인성 또는 인성 교육이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인성의 정확한 개념 및 인성의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고민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인성 및 인성 교육의 홍수 속에서 이 문제에 대해 숙고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인성 개념 및 인성의 교육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인성 개념의 명료화와 관련해서는 그 개념에 대한 적극적 정의가 쉽지 않음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사용의 맥락에서 그 의미를 이해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구체적인 사용의 맥락에서 볼 때 인성 개념은 품성, 덕성 등의 개념과 상당부분 겁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성의 교육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를 참조하였다. 두 사람의 논의를 참조할 떄, 인성을 교육한다는 것은 본성적으로 있는 것을 상기 또는 습관화를 통해 기르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이렇다면 인성 교육이라는 말보다는 인성함양이라는 말이 더 적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인성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현대의 인성 교육론자인 리코나의 포괄적 접근은 일정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oday the words ``In-sung``(人性) or ``In-sung Education``(人性敎育) is widely used. But there is not the reflections on the concept of ``In-sung`` and the possibility of ``In-sung Educ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flect on the concept of ``In-sung`` and the possibility of ``In-sung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larification of the ``In-sung`` concept, the positive definition of the ``In-sung`` concept is very difficult. Thus we must understand the meaning the ``In-sung`` in a practical context. In a practical context ``In-sung`` concept is used to mean the character or virtue. In connection with the possibility of ``In-sung Education``(人性涵養) it was reference the arguments of Socrates and of Aristoteles. According to there`s arguments the educating of ``In-sung``[virtue] is the recollection of the things that were forgotten or the habitation. In this respect the word of the ``Developing In-sung`` is more adequate than ``In-sung Education``. T. Lickona gives many suggestions for the ``Developing In-su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