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중등교사의 교워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과 직무수행 변화 사이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Teacher Evaluat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ir Job Performance Change
장순아 ( Soon Ah Jang ) , 김용주 ( Yong Chu Kim )
현대교육연구 vol. 25 85-104(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40357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의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과 교원평가 시행 후의 직무수행 변화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부경남지역 15개 중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0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교원평가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의 인식은 5점 만점에 2.77점으로 약간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의 영향 요인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의 인구학적 변인 중 교직경력과 설립주체 변인이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교직경력 5년 미만의 교사들이 5년 이상의 교사집단들보다, 사립학교 교사들이 공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원평가의 모든 하위 요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원평가 시행 이후에 연구대상자들의 직무수행 변화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3.01점으로 긍정도 부정도 아닌 상태로 나타났다. 교과지도와 관련된 행동 변화에 대해 그렇다고 응답한 교사가 약간 더 많았고, 학부모와의 관계와 관련된 행동 변화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교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이 직무수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수행 변화에 대한 교원평가의 설명력은 36.7%~54.6%로 나타났다. 특히 교원평가 영향 요인과 평가적절성 요인이 교사의 직무수행 변화 전체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Teacher Evaluat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n their job performance chang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 of 302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from 15 secondary schools of the west Gyeong-nam Province.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teacher evaluation was shown to be slightly negative at 2.77 out of 5 point scale, while the evaluation effect factor showed the most negative perception in relative terms at 2.61. Second, perception of changes in the teacher`s job performance change after the evaluation was shown be neutral at 3.01 out of 5 points. Concerning the job performance changes the study subject perceived most positively on the teaching activities, while the least o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teacher evaluation on changes of teacher`s job performance showed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evaluations on teacher`s job performance to be between 36.7-54.6%.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effect factor and evaluation appropriateness factor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job performance chang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