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등학교에서 물리 선택과 비선택에 따라 대학에서의 물리수업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알아보는 것은 물리 수업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과학 분야에 대한 인식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이어서 물리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 물리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선택여부에 대한 이유를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등학교 물리와 대학 물리의 연관성에 대한 물리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물리는 어렵다’는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물리는 흥미와 재미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학생들의 자발적인 선택이 이뤄질 수 있게 해야 하며, 능 물리는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게 쉽게 출제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고등학교 물리와 대학 물리의 지향점을 달리해야 하며, 이들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Now, to understand what impact the teaching of physics at the college in accordance with the non-selected and selected high school physics, it is possible to give suggestions as to how to do the lessons of physics. To this end, we investigated awareness of sc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Then, we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reason for college students of physics majors, whether or not to select the physics in the Korea Scholastic Ability Test and high school physics. And the perception of the relevance of college physics and high school physic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the perception of “Physics is difficult” was changed by interesting of high school physics. It take place a voluntary selection of students in high school physics. And we concluded that Korea SAT Physics questions should be easily for getting a good sco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oal of high school physics and college physics must be different and the new method can be narrowed these intervals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