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지속가능한 휴폐광산 관리 및 광해 방지를 위한 환경,광산 지리정보체계 구축 및 개선 연구 -환경부분 중심으로-
A Study on Environmental,M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roach for the Sustainable Min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Mine Hazards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Section-
이주영 ( Ju Young Lee ) , 한무영 ( Moo Young Han ) , 양중석 ( Jung Seok Yang ) , 최재영 ( Jae Young Choi )
환경정책연구 8권 1호 129-143(15pages)
UCI I410-ECN-0102-2014-500-001763253

국내 광산은 1960년대 및 70년대에 원료자원확보를 위한 기간산업으로 육성 개발되었고, 90년대 이후 광량 고갈 및 국제자원가격 하락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로 거의 대부분의 광산이 폐광되었으며, 대다수의 폐광산의 폐광석 및 광미 적치장의 관리가 불안전하여 오염물질의 확산으로 토양과 수질이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토양오염실태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중금속 오염원 파악 및 위해성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환경오염에 노출되어 있어, 이로 인한 주변생태계 파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논문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지속가능한 휴폐광산 정화 및 관리를 위한 기존 환경·광산지리정보시스템 활용뿐만 아니라 추가적 기능 확대방법에 관한 제언을 통해 정책결정자 및 관리자들이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광해방지정책 마련과 사업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In South Korea, Mine industries were encouraged to obtain the natural resource from 1960 to 1980. However,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 and decreasing price have been caused by the voluntary closure of non-economical mines and a cut of their production since 1990. Harmful wastewater containing such heavy metals as iron, aluminum, arsenic, and cadmium are being discharged from abandoned pits and waste stone and tailing dumping sites following the closure of min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suggests a policy of mine hazard prevention(PMHP) and method that allows the combination of new spatial data and as well as collected data on resources for the sustainable mine reclamation and management using EGIS/MGIS technique to develop an integrated plan and management techniqu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