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1차 생산력에 대한 N:Pratio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영양염 첨가실험(NEBs)”을 실시하였다. 영양염 첨가실험(NEBs)에 의한 N:P Ratio의 영향은 대청호에서 측정된 수질데이터와 비교분석하였다. 단기 영양염 첨가실험 결과, 인 (P)을 첨가한 처리군들 (N:P Ratio=5, 15, 20, 30)에서의 1차 생산력의 반응이 대조군 (Control)과 인(P)을 첨가한 처리군 (N:P Ratio=80, TV), 질소(N)를 첨가한 처리군(N:P Ratio=150, TVI)에서보다 높았다. 또한 질소 (N)를 처리한 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 모든 처리군에서보다 1차 생산력의 반응이 유의하게 작았다. 영양염 첨가실험의 결과,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에 인이 제한영양염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질소첨가 (Spiking N)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청호의 영양염 변이 분석 결과, 최소N:P Ratio에서 엽록소-a의 최대농도가 나타났고, N:P Ratio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에 대한 핵심 조절자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N:P Ratio가 식물성플랑크톤의 성장을 조절하는 핵심 인자로 작용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P ratio on primary productivity measured as chlorophyll-a (CHL) using the approach of In Situ Nutrient Enrichment Bioassays (NEBs) in Daechung Reservoir. The effects of NEBs on the N:P mass ratios were compared with the field data obtained from monthly-chemical monitoring during 2009~2012. The short-term NEBs showed that the response of primary productivity in the phosphorus spiked treatments (5, 15, 20 and 30 N:P ratios) were greater than the responses in the control (C) and nitrogen spiked treatment (N:P ratio=150, TVI). The response in the nitrogen treatment (N:P ratio=150, TVI) was less compared to control and all five treatments (TI~TVI). The outcomes of the NEBs suggest that phosphorus limited the phytoplankton growth and nitrogen addition inhibited the algal growth. In the analysis of nutrients and CHL from the ambient epilimnetic water in Daechung Reservoir, minimum N:P ratios resulted in maximum concentrations of CHL.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N:P ratio was the key factor in regulating the phytoplankton growth in NEB exper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