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를 보내는 것은 무언가를 일단락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시점을 맞이하기 때문에 또 다른 의미가 있다. 지난 1년간 대한구강보건학회지가 추구했던 바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원칙을 따르려고 노력했다’이다. 무슨 원칙인지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하여간 2013년의 대한구강보건학회지는 학문의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원칙을 지키려고 노력해 왔다. 그 결과는 지난해의 논문 출판 거부율(rejection rate)이 대변해 주고 있다. 우리 학회지의 평균 rejection rate는 25% 수이었지만, 2013년에는 45%를 상회하고 있다. 그렇다고 편집위가 철퇴를 휘두르거나 월권 행위를 한 것은 아니다. 편집위는 오히려 논문 편 수가 부족할까봐 전전 긍긍하며 몇 번의 위기를 넘기며 매 호를 발간하였다. 어떤 때는 심사위원의 심사 기준이 너무 엄격한 것 아닌가 하는 불만을 가진 적도 있지만, 그럴 때마다 한 가지 시금석으로 삼았던 말이 ‘원칙을 지키자’이다. 성숙된 사회일수록 자신들만의 원칙과 규정이 있고, 이를 준수하려고 노력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 대한구강보건학회지의 편집위와 심사위원들은 성숙된 지식인 사회가 지향해야할 표본이라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과거에 비해 학술지 편집과 관련된 많은 규정들이 있고, 대부분의 학회들이 이를 따르려고 노력하면서 전체적인 학술지의 수준이 많이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안타까운 현실은 정작 학회지에 논문을 투고하는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환경 변화에 둔감하다는 점이다. 그러다 보니, 연구를 열심히 하였으나, 실제로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할 수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 예를 들어 2013년 2월 2일부터 시행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인간을 대상으로 한 모든 연구는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데, 실제 설문조사나 중재 연구 등을 심의 없이 진행하여, 결론적으로 학술지에 실지 못한 경우도 왕왕 있다. 지금이 과도기이기 때문에 그럴지도 모르나, 이와 같은 정보를 제때 접하지 못한 연구자들이 입은 피해를 생각하면 안타까울 뿐이다. 연구 환경과 더불어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연구자들도 이와 같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대처해야 하리라 생각한다. 3년간 학회지 편집일을 맡으면서 본의 아니게 연구자들에게 상처를 주는 출판 거절의 메시지를 작성해야 했던 안타까운 순간을 떠올리며, 지면을 통해서라도 죄송스러운 마음을 전달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많은 연구자들의 좋은 연구 성과가 대한구강 보건학회지에 많이 실려 국민구강건강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With another year coming to an end, we are again on the verge of seeing off the old and bringing in the new. To succinctly define the efforts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in the past year, we have tried to “stay true to the principle.” While some of you may wonder what exactly is the “principle,” our efforts in 2013 have converged towards keeping it alive along with our respect for academic diversity. The result of our efforts is reflected in the manuscript rejection rate-it exceeded 45% in 2013 against the average rejection rate of 25%. This does not mean that the editorial board brandished tomahawks or abused its power in any way. On the contrary, the editorial board experienced critical moments in the publication of each issue, worrying about filling the journal with a decent number of articles. We have sometimes been self-critical about reviewers` stringent standards. Each time, we have overcome our doubts with the motto “staying true to the principle,” which is the touchstone of quality assurance for our journal. Bespoke principles and regulations are hallmarks of a society, and I believe that efforts made to abide by them reflect the maturity of that society. From this perspective, I believe that the editorial board and reviewers of our journal truly present examples to be emulated by a mature society of intellectuals. The number of editorial-related regulations for academic journals has considerably increased over time. Consequently, overall journal standards have been continuously improving with the efforts of most academic journals to comply with these regulations. Unfortunately, this change in the publishing environment has not yet been understood by the researchers who submit manuscripts to their respective academic journals. They wonder why their manuscripts, the fruit of their strenuous research, are rejected by journals. For example, there were instances of questionnaire surveys or intervention studies being rejected because they violated the review regulation of the “Bioethics and Biosafety Act,” enforced on February 2, 2013, which prescribed that al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be approved by their respectiv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The transition period may be a mitigating factor for this, and it is regrettable that researchers had to incur losses for lack of information. The world keeps changing, just as the research environment does. It is high time that researchers attune themselves to such changes. Remembering some of the gloomier moments of writing rejections during my three-year stint with the editorial board, I take this opportunity to express my regret for disappointing many researchers-necessary, but unintentional. Finally, I sincerely hope that in the coming year, many excellent research results will b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