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지방량 및 체지방량은 나이, 신장, 그리고 체중과 함께 변화하기 때문에 개개인의 제지방량이나 체지방량의 과다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가 신체구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로 평가한 마름, 표준, 과체중, 그리고 비만에 해당하는 사람의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을 결정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10)가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제지방량과 체지방량은 20-93세의 건강한 성인(남: 2,509명, 여: 3,268명)을 대상으로 DX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준 BMI 범주에 해당하는 제지방량지수(남:15.2-17.5, 여:13.1-14.8 kg/㎡)와 체지방량지수(남: 2.9-5.0, 여:5.2-8.0 kg/㎡)로, BMI가 25 이상인 비만범주에 있는 체지방량지수는 남녀 각각 6.0, 9.2 kg/㎡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표준범위의 체지방률은 남녀 각각 16.7-22.6 %, 28.0-34.3 %로 추정하였다. 이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의 값들은 신장과 상관없이 신체성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운동, 영양, 그리고 의학과 관련이 있는 전문가들이 한국인들의 노화, 질환, 그리고 운동 트레이닝으로 인한 신체구성의 변화를 관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ecause of fat-free mass (FFM) and body fat mass (BFM) change with age, height, and weigh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individual subjects have low or high FFM or BFM. The fat-free mass index (FFMI, kg/㎡) and body fat mass index (BFMI, kg/㎡) are useful in evaluating body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FMI, BFMI, and percentage of body fat (%BF) ranges in subjects with low, normal, overweight, and obese BMI in Korea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 The study contain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s (2,509 men, 3,268 women) aged 20 years or older. FFMI, BFMI, and %BF were calculated. FFMI values were 15.2 to 17.5 kg/㎡for men and 13.1 to 14.8 kg/㎡for women within the normal BMI ranges. BFMI values were 2.9 to 5.0 kg/㎡for men and 5.2 to 8.0 kg/㎡for women within the normal BMI ranges. BFMI values were 6.0 and 9.2 kg/㎡in men and women, r espectively, f or o bese BMI ( 25 kg/㎡). Normal r anges for %BF were 16.7 t o 22.6 a nd 2 8.0 to 3 4.3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is study presents FFMI and BFMI values that correspond to low, normal, overweight, and obese BMIs. FFMI and BFMI provide information about body compartments regardless of height. The present data may be useful to health specialist as reference values for Korean population in comparing healthy and ill subjects of all ages and identifying body composition changes related to aging, malnutrition, and exercise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