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Accredited SCOPUS
금연 유지 시 운동 유무에 따른 체내 니코틴과 호기 일산화탄소의 변화 연구
남상남 , 강소형
운동과학 vol. 22 iss. 3 233-238(6pages)
UCI I410-ECN-0102-2014-600-002020147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자의 금연 유지 시 운동 유무가 체내 니코틴과 호기 일산화탄소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효과적인 금연성공 방법 중의 하나로 운동의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흡연 남성 60명을 대상으로, 흡연과 운동군(30명), 흡연과 비운동군(30명) 두 그룹으로 나누어 니코틴 의존도와 소변 내 니코틴 측정, 호기 일산화탄소를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C(Version 12.0)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모든 변수의 결과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집단 간니코틴의 의존도 변화와 집단 간 호기 중 일산화탄소의 변화는 independent t-test를, 집단 내 니코틴의 의존도 변화는 paired t-test를, 호기 중 일산화탄소의 변화는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운동 유무에 따른 집단 내 니코틴 의존도의 변화는 모두 감소하였으며, 집단 간 니코틴 의존도의 변화는 SNEG(smoking+nonexercise group)2.56±.49와 SEG(smoking+exercise group) 4.11±.8 감소하였다. 대상자의 운동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소변 니코틴 음성 측정 일수를 비교한 본 결과 SNEG 5.77±1.2일과 SEG 4.11±.78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운동 유무에 따른 일산화탄소의 변화는 두 집단 간 시간의 흐름에 따라 SNEG는 8시간 후 오히려 증가 후 감소하였고(10.95±3.66에서 11.44±2.24) SEG는 일정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흡연자의 운동이 금연 중 체내 니코틴과 호기 일산화탄소 배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후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수량적인 니코틴 수치 변화 경향과 운동의 유형 등에 따른 일산화탄소와 니코틴의 변화 등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during smoking inhibition session of smokers, on in-body nicotine and expiration carbon monoxide, and verify the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as an effective method for success in quitting smo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smoking men, which we measured nicotine dependency, nicotine inside urine and carbon monoxide by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of smoking and exercise(30 persons) and of smoking and non-exercise(30 persons). Data processing is done with use of SPSS-PC(Version 12.0), and we go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result of all variations, and we executed independent t-test for the change of nicotine dependency and carbon monoxide between groups, and paired t-test for the change of nicotine dependency between groups and repeated measure ANOVA for the change of carbon monoxide. The summarized analysis is as follows. The nicotine dependence according to physical exercise decreased, and the changes in nicotine dependence among groups were also reduced, SNEG (smoking+nonexercise group) becoming 2.56±.49, and SEG (smoking+exercise group) recording 4.11±.8. Comparing the days that the subjects recorded ``negative`` in urine nicotine tests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ies, SNEG recorded 5.77±1.2 days and SEG 4.11±.78 days. The changes in carbon monoxide according to subjects` physical activity were as follows. SNEG showed an increase after 8 hours but then decreased (10.95±3.66 to 11.44±2.24) while SEG showed continuous decrease. Analyzing these research results, we have concluded that smokers` physical exercise during smoking inhibition periods positively affects in releasing in-body nicotine and expiration carbon monoxide.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more concrete and various studies, such as the change of carbon monoxide and nicotine upon the tendency of change of quantitative nicotine value and upon change of time and kinds of exercis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