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SCOPUS
지방내 crown-like-structure 대식세포의 새로운 표식인자로써 LYVE-1의 역할
이혁종
운동과학 vol. 22 iss. 3 213-221(9pages)
UCI I410-ECN-0102-2014-600-002020127

지구성 운동은 비만환자의 지방내 염증발현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지구성 운동이 염증발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지방내 대식세포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대식세포의 기능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비만군의 지방내 M2 대식세포로 알려진 레지던트 대식세포(resident macrophage)와 염증을 일으키는 M1 대식세포로 알려진 CLS 대식세포(Crown like structure macrophage)를 구분하여 분리한 후 실험관 실험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이 두 대식세포를 분리할 수 있는 표식인자의 부재로 효율적인 연구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LS 대식세포를 찾아낼 수 있는 새로운 표식인자를 제시하여 향후 지구성 운동이 비만군 지방내 대식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주간 저지방 식이(통제군) 또는 고지방 식이(비만군)를 처치한 마우스의 지방으로 부터 real time PCR, 형광 염색 및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지방내 염증 발현, 혈관의 활성화, 대식세포 및 CLS 수를 분석하고, CLS 대식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표식인자를 찾기 위하여 LYVE-1을 이용한 형광염색을 시행하였다. 통제군에 비해 비만군의 지방에서 TNF-α(p<.001), IL-1b(p<.01)그리고 Cox-2(p<.05)의 mRNA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단핵세포의 조직내 침투를 돕는 혈관의 ICAM-1(p<.01)과 VCAM-1(p<.001)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비만군의 지방내 대식세포의 수 및 CLS 수가 증가하였다. 한편 CLS 대식세포의 표식인자로 알려진 MGL1은 레지던트 대식세포 및 CLS 대식세포 모두에서 발현되었으나 LYVE-1은 통제군과 비만군의 레지던트 대식세포에서만 발현되었고, 비만군의 CLS 대식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표식인자인 F4/80+CD11c+LYVE-1-로써 CLS 대식세포를 재정의(redefine) 하였고, 이는 향후 지방내 대식세포의 역할을 밝히는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지구성 운동이 비만환자의 지방내 레지던트 및 CLS 대식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어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표식인자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exercise training improves adipose tissue associated inflammation and systemic insulin resistance in obese patients, the underlying mechanisms how exercise effects on macrophage functions in obese adipose tissue have not been evaluated yet.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e absence of specific marker for isolating two different macrophages, resident macrophage(RM) and crown-like-structure macrophage(CLSM), from obese adipose tiss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new phenotypic marker for the selection of RM and CLSM and to provide useful method for studying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adiopose tissue macrophage.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blood vessel activation, and ATM recruitment were analyzed in the adipose tissues from the mice fed low(control) or high fat diet(obesity) for 12 weeks. Also novel marker for detection of CLSM was evaluated with LYVE-1 staining in this study. TNF-α(p<.001), IL-1b(p<.01) and Cox-2(p<.05) were upregulated in obese adipose tissue. ICAM-1(p<.01) and VCAM-1(p<.001), which were known to play a role in recruiting leukocyte into adipose tissue, were highly expressed on adipose tissue blood vessel in obese group and more RM and CLSM were accumulated in obese adipose tissue. To identify a new marker for the detection of CLSM, MGL1 and LYVE-1, which were M2 markers, were evaluated. The expression of MGL1, which has been known not to be expressed on CLSM, was found on CLSM. It indicates that MGL1 is not an ideal marker for selection of CLSM. Instead, LYVE-1 was expressed on RM in lean and obese adipose tissue RM, but not in CLSM. Therefore, CLSM is redefined as F4/80+CD11c+LYVE-1-. This new novel marker would be useful for isolating and characterizing CLSM as well as for interrogating the effects of endurance exercise on adipose tissue macrophage in obese pati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