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2
18.97.14.82
close menu
Accredited
『순수이성비판』에서 초월적 이념들의 초월적 연역에 대하여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the Transcendental Idea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홍우람 ( Woo Ram Hong )
칸트연구 vol. 32 295-326(32pages)
UCI I410-ECN-0102-2014-100-001546187

이 논문은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가 이성의 순수 개념들, 즉 초월적 이념들에 대해 어떻게 초월적 연역을 시도하는지 검토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순수이성비판』에서 일견 칸트는 초월적 이념들에 대한 초월적 연역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입장과 부정적인 입장 사이에서 일관성 없이 흔들리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는 사실 일관되게 긍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 둘째, 범주들의 초월적 연역은 범주들의 규정적인 객관적 타당성을 증명하고자 하는 데에 반해서, 초월적 이념들의 초월적 연역은 초월적 이념들의 미규정적인 객관적 타당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셋째, 이 미규정적인 객관적 타당성은 지성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통일하기 위한 유사-도식으로서 초월적 이념들이 규제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넷째, 초월적 이념들의 규제적 기능은 경험적 인식들을 체계적으로 확장하고 통일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결국은 경험과 관련한 지성의 구성적 기능을 완성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우리의 경험이 체계적으로 통일된 전체이어야 하는 한에서, 초월적 이념들은 경험의 가능성의 조건으로서 비록 미규정적이지만 객관적으로 타당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Kant`s attempt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to provide a transcendental deduction for pure concepts of reason, i.e., for transcendental ideas. For this purpose, we claim as follows: First, although Kant, at a glance, may appear to waver inconsistently between a positive and a negative position on the possibility for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the transcendental ideas, he actually has a consistently positive position on it in the Critique. Secondly, whereas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the categories aims to justify their determinate objective validity,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the transcendental ideas aims to justify their indeterminate objective validity. Thirdly, such an indeterminate objective validity of the transcendental ideas can be understood by identifying their regulative function as an analogue of a schema to unite the manifold cognitions of understanding in a system. Fourthly, the regulative function of the transcendental ideas is necessarily required to systematically expand and unite our empirical cognitions, and ultimately to complete the incomplete function of understanding which is constitutive as regards experience. Therefore, insofar as our experience must be a systematically united whole, the transcendental ideas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possibility of experience, and, as such, are objectively valid, though indeterminat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