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1766년 저술 『시령자의 꿈』은 그의 비판철학적 사유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모두 선취하고 있다. 칸트는 특히 『시령자의 꿈』에서 스베덴보리를 강력하게 비판하고 도덕 신앙의 길로 들어서는 과정에서, 비판기 도덕신앙의 주요 요소들, 즉 ‘도덕감’, ‘상상의 초점’, ‘신비체’ 등의 개념들을 통하여, 자신의 선험철학을 체계화하고 있다. 칸트는 『시령자의 꿈』에서 라이프니츠, 볼프, 스베덴보리, 그리고 심지어 자기 자신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독단적 형이상학을 비판했다. 이것은 ‘영혼’이나 ‘영의 세계’, 그리고 ‘지성적 세계’와 같은 초월적 이념들에 대한 감성적 직관이 불가능하고, 오직 도덕적 실천의 차원에서 지성적 직관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사실은 칸트가 스베덴보리의 신비주의를 제한하고 규제함으로써 자신의 특유한 비판철학의 길로 들어섰다는 것을 보여준다. 칸트는 『시령자의 꿈』에서 초월적 세계에 대한 스베덴보리의 경험적 진술을 비판하면서 그것을 독단적 형이상학이라고 규정하였다. 또한 그는 지성적 세계에 대한 논의를 이론적 차원이 아닌 실천적 차원에 한정하였다. 그는 지성적 세계에 대한 긍정을 이론적인 이성 사용의 방식에서가 아니라, 초월적 세계에 대한 지성적 직관의 가능성 주장을 바탕으로 이끌어냈으며, 이러한 선험철학적 정초를 바탕으로 도덕신앙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는 지성적 세계의 존재를 도덕감 또는 도덕신앙의 차원에서 복원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칸트의 비판기는 1766년에서 1770년에 이르는 시기에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Kants Schrift “Traume eines Geistessehers”(1766) enthalt schon die seiner kritischen Philosophie zugrunde gelegte zentrale Elemente. In dieser Schrift versucht Kant besonders Swedenborgs Metaphysik zu kritisieren und seine eigene Transzendentalphilosophie im Rahmen des moralischen Glaubens systematisch zu formulieren. Damit benutzt er eine Reihe der spezifischen Begriffe wie “moralisches Gefuhl”, “focus imaginarius”, “corpus mysticum”. Kant kritisiert in seiner Schrift “Traume eines Geistersehers” die dogmatischen Metaphysiker, wie Leibniz, Wolff, Swedenborg, sogar inklusiv seiner selbst. Dadurch wollte er zeigen, daß die sinnliche Anschauung zur transzendentalen Ideen nicht moglich ist, sondern die intellektuelle Anschauung dazu nur im Sinne der moralischen Praxis moglich ist. Aus dieser Tatsachen versucht Kant Swedenborgs Mystik durch das regulative Prinzip zu begrenzen. Kant erklart damit sein Eintreten in den Weg zur kritischen Philosophie. Kant kritisiert in seiner “Traume eines Geistersehers” die empirischen Aussagen Swedenborgs zu der transzendenten Welt, und bezeichnet sie als dogmatische Metaphysik. Damit begrenzt er die Bejahung der intellektuellen Welt nicht in der Weise des theoretischen Gebrauchs der Vernunft, sondern in der Weise der Behauptung der Moglichkeit der intellektuellen Anschauung. Mit dieser transzendentalphilosophischen Begrundung wollte er die Theorie des moralischen Glaubens aufbauen. Dies bedeutet, daß die intellektuelle Welt mit dem Ansatz des sittlichen Gefuhls oder in der Dimension des moralische Glaubens rekonstruiert werden kann. Damit konnte man sagen, daß Kants kritische Periode in dem vom 1766 bis zum 1770 durchlaufenden Zeitabschnitt anfang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