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수평적 규제체계에 부합하는 미디어 집중 규제 수단에 대한 고찰: 콘텐츠 계층 내 집중도 측정에 근거한 규제 모델의 가능성
Limiting Media Concentration under the Vertical Regulatory Framework: An Inquiry into Regulatory Models based on the Measurement of Multi-media Market Concentration
김남두 ( Nam Doo Kim )
UCI I410-ECN-0102-2014-300-001585648

이 논문은 방송통신 융합에 따라 요청되는 수평적 규제체계와 부합하면서 미디어다양성 정책의 전통과 연속성을 지닌 콘텐츠 계층에 대한 집중 규제 방안이 무엇인지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전통적인 소유규제 및 이종 미디어 교차소유를 대신할 수 있는 집중 규제 제도로 ‘미디어 시장 집중 제한 방식’의 규제, 특히 방송미디어와 인쇄미디어에 걸친 콘텐츠 계층에 대하여 시장 집중도를 측정하여 규제하는 ‘복수의 미디어 부문에 대한 시장 집중 제한 방식’의 규제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독일의 관련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독일의 이종 미디어에 대한 합산 시청점유율 산정 사례는 시청점유율 상한제가 수평적 규제체계 하에서 TV 미디어 부문내 콘텐츠 계층 뿐 아니라 복수의 미디어 부문에 걸친 콘텐츠 계층에 대한 집중규제 수단으로도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근거로,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매체간 합산 영향력지수가 수평적 규제체계 하의 ‘미디어 콘텐츠’ 계층에 대한 집중도 측정 모델이라는 점에서 지니는 의의 및 향후 해소하여야 할 쟁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What is the best way to limit media concentration under the condition of meeting both the vertical regulatory model in telecommunications and the regulatory tradition of media diversity? This article brings to light the regulatory approach based on the measurement of multi-media market concentration, in which the media market can be defined in terms of the layer of media content, transversing traditionally different media sectors including TV media and print media. Since the late 1990s, in the United States, Italy, the Netherlands and Germany. New regulatory models have been developed with their own methods of measuring mutl-media market concentration. Those new models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media-relevant market definition, measurement tool, etc. Among these, only the German model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V audience share turned out to be successful in safeguarding media diversity. Based on a review of foreign cases, this paper discusses necessary conditions for a regulatory model based on the measurement of multi-media market concentration to meet its goal under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telecommunications regulatory framework. Finally, this paper gives a commentary on the Media Influence Summation Index, which was developed in 2012 by the Media Diversity Committee in Korea. Further discussion is offered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employing the MISI as a regulatory tool in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