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淸代(청대) 福建(복건)지역 育纓堂(육영당)의 설립과 운영
淸代福建地域的育纓堂設立與運營
劉採源
역사학연구 vol. 52 295-324(30pages)
UCI I410-ECN-0102-2014-900-001544425

중국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棄兒문제는 끊임없이 있어왔고, 국가적·사회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자연재해나 전란이 이어질 때마다 溺纓이라는 중국 고유의 풍습이 더해져 버려지거나 살해되는 아이들의 수는 점점 늘어났다. 그러나 淸代에 들어 인구가 대폭 증가하고 사회 빈곤층이 확대됨에 따라 棄兒문제가 급증하기 시작하면서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 이행해간 淸朝는 이 문제에 대해 성숙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바로 이러한 시기에 등장하여 확산되었던 育纓堂은 버려지거나 혹은 가난한 집의 아이를 대신 양육하는 제도적 장치로써 자리매김 하였다. 통계에 의하면 청대 초기부터 육영당을 비롯한 육영시설이 많이 설립된 지역은 복건이었다. 청 초기 복건지역에 집중적으로 육영당이 설립 확산 된 배경으로는 첫째, 고대부터 풍속처럼 번져 온 溺纓이라고 하는 현상이 明淸 전란기를 거치면서 복건지역에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기록에 의하면 육영당 설립의 목적은 溺纓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임을 밝히고 있었다. 둘째, 복건은 남명 세력의 근거지로서 청 조정의 입장에서는 지배력을 강화하고 한편으로는 慰撫 정책을 통해 복건지역을 장악할 필요가 있었다. 雍正 2년(1724)에 내려진 조서로 인해 복건에는 育纓堂이 19군데 설립되었고, 이후 育纓 정책이 진일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청 중엽 이후 福建의 육영당은 단순한 사회구제 기구가 아니라 상당한 경제적 능력을 가지고 지역사회의 재원을 운영하는 막중한 역할과 지위를 획득한 경제기구로 변화하였다. 초기에는 관부의 주도하에 설립과 운영이 이루어졌지만 이후에는 紳商, 邑紳, 民人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면서 운영비를 모금하고 활용하는 방법이 다양해졌다. 게다가 피수해자인 아이들을 수양하는 방법과 사후 관리를 위한 규조도 세분화되면서 이전 왕조 시대의 기아대책과 비견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하였다. 『福建省例』의 「恤賞例」편에 의하면, 수용 대상은 棄兒 혹은 빈민의 자녀 가운데 4세 이하의 아이로 제한하고 있으며, 밥값 외에도 의복과 약값을 지원해주었다. 建寧府의 建□縣에 있는 육영당의 경우 수양 형태에 있어서도 당내에서 보육하는 방법, 다른 가정에 양육을 의탁하는 방법(寄養), 출산한 가정에 출산보조금을 지원해주는 방법(自養), 육영당의 아이를 다른 가정에 입양 보내는 방법(抱養)이 있었으며, 自養과 抱養의 경우 신청할 때에는 지역의 紳士나 族房의 長 그리고 鋪戶人 가운데 보증인을 세워야만 가능했다. 한편 육영당의 아이들을 관리하는 유모에게는 증명패를 소지하게 하였고, 寄養과 自養 그리고 抱養의 경우, 육영당의 책임자 혹은 관계자가 월 1~2회 정도 방문을 하여 아이들의 양육 상태를 점검하고,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찰하였다. 청대 복건지역에 설립 된 육영당의 변천사를 살펴본 바, 아이들의 수양 목적과 이념도 단순히 수양한다는 이전 시대의 도덕적 자애심과 의무감에서 나아가 소생하여 성장한 아이들을 보호하거나 입양된 아이들을 꾸준히 관리하여 실리적 혹은 후생적 복리를 꾀하는 종합적인 양육 시설로 발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育纓堂是收養和救濟棄纓尤其女纓的社會組織和場所.淸代是中國歷史上溺女問題最嚴重的時期,同時由于統治者和地方紳士的重視,淸代也成爲繼兩宋之后育纓事業最爲興盛的時期.福建溺女頗爲盛行,時人對此早有認識.据現有方志資料可知,福建所轄各府州縣多有溺女記載,且多與奢華,賭博,迷信等風俗幷存.령外,淸代社會的男尊女卑的觀念也促成溺女之風的盛行.淸代福建的育纓堂設立以康熙三十八年(1699)松溪縣的生生所爲開端.當地人楊汝霖捐資設立生生所以收養棄女,挽救生靈.雍正二年(1724)是淸王朝育纓事業發展的一個關鍵點,這一年雍正帝在北京先行設立育纓堂的基礎上,下令“行文各省督撫轉飭有司,勸募好善之人,于通都大邑人烟稠集之處,照京師例,推而行之”.淸延開始以行政命令的形式推廣設立育纓堂,此后福建“奉文”設立育纓堂,福建省可通計的數字爲19所.育纓堂的建設和運營離不開大量金錢的支持,鑑于各地經濟實力以及官民的熱心程度等諸多因所的差異,各地的育纓堂在建設規模上各有差別,經營管理也因諸多因素的制約而有所不同.福建育纓堂之例,祀神在育纓堂經營中不可或缺乏的地位,也可以推論當時在衆多的育纓堂中有祀神爲必循之“常例”,大槪建育纓堂本身就是保護弱者的事業,更需祈求神靈的庇佑.雖然各處育纓堂所祠之神幷不一致,但“安順天聖母”,“臨水夫人”,“觀音大士”等母纓護佑神當爲主要神靈,“福德神”等神均有護佑事業順利的功用.淸中葉以后福建的育纓堂已經發展成爲一種相當成熟的社會組織和机構,相應的管理和組織制度已充分建立起來,明確細致的育纓堂章程確保了育纓堂的正常運轉.從建寧府的建□縣之育纓堂的運營實例看,主要有堂養和寄養兩種育纓方式.淸代前期多數采取堂養的方式,中葉以后建立育纓堂越來越多地采取寄養方式,可以用有限的經費救助更多的女纓.由于堂養一般需要支出更多的經費,寄養往往成爲經費不足時候的最佳選擇.撫育女纓的主要途徑是通過寄養于有乳家庭的方式,寄養乳母在不離家的情況下可以獲得一定的經濟補助帖補家用,而育纓堂又可以節省一定的費用.其經營的好壞勢必影響育纓堂的生存和發展.爲加强對自養寄養抱養女纓家庭的監管,以及對出堂女纓的后續管理,又安排專職巡査人員履行相關職責.管理層之外,還有乳母,雜役,醫生等工作人員,大致各堂具體情況各異,有些還雇有□婦照顧乳母,以能完成基本職責爲原則雇請相關人員,或有增減.作爲一項社會慈善事業,淸代福建的育纓事業在地方政府及社會各界人士的共同努力下不斷向前推進,隨着時代的進步育纓堂的建設愈來愈普及,不斷由中心城市向廣大農村延伸,育纓事業獲得了長足發展,對糾正社會風俗到了積級作用.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