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6.164.18
18.226.164.18
close menu
}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VIP 리포트; 창조직업의 고용확대가 창조경제의 관건이다! -한국의 창조직업 현황과 시사점
김필수 , 오준범 , 이부형
VIP Report 544권 1-23(2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2821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개요 창조직업: 창의적 사고를 통한 혁신 추구 및 문제 해결을 업무로 하는 직업 창조직업의 역할: 지식 기반 경제에서의 성장 동력이자 고용 증대 방안한국 창조직업의 현황 2010년 기준 한국의 창조직업 비중은 전체 직업의 37.8%이나, 창조직업 종사자 비중은 전체 종사자의 18.4%에 불과 -한국의 창조직업은 4,254개로 전체 직업 11,242개 중 37.8%를 차지 -창조직업 종사자는 443만 명으로 전체 종사자 2,405만 명 중 18.4%에 불과 한국의 창조직업 종사자는 교육 및 연구, 보건·의료, 문화·예술 직종에 집중 -교육 및 연구, 보건·의료, 문화·예술 직종의 창조직업 종사자는 226만 여 명- 이는 전체 창조직업 종사자 443만 명 중 51.0% 수준 한국 창조직업의 특징 창조직업 종사자 수가 증가하지 못하는 상황 -창조직업 종사자 수: 2005년 419만 명→2008년 474만 명→2010년 443만 명 -전체 종사자 수 대비 비중: 2005년 18.1%→2008년 20.0%→2010년 18.4% ②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분야의 창조직업 종사자 증가 -보건·의료 직종 내 창조직업 종사자: 2007년 37.9만 명→2010년 49.9만 명 -사회복지 직종 내 창조직업 종사자: 2007년 13.4만 명→2010년21.9만 명③ 창조직업에서 여성 인력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 -창조직업 종사자 중 여성 인력 비율: 2007년 42.1%→2010년 44.6% -2007~10년 여성 창조직업 종사자 증가: 보건·의료 8.5만 명, 사회복지 8.3만 명 ④ 창조직업 간 임금 격차 발생 - 2010년 보헤미안 직업 임금 근로자 소득 216만 원/월(창조직업 평균의 77.0%)- 사회복지 직종 창조직업 임금 근로자 소득 120만 원/월(창조직업 최저 수준)시사점 첫째, 산업 구조 및 사회 변화, 직업 수요를 반영한 새로운 창조직업의 발굴 둘째, 창조직업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통한 종사자 수 증대 대책 마련 셋째, 다양한 창조직업으로의 인력 공급을 위한 교육 및 지원을 확대 넷째, 여성에 적합한 창조직업의 도입 및 확대를 통해 경제 활동 참여를 유도 다섯째, 창조적 경제 활동에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사회 인식을 제고 여섯째, 직업의 전문화 트렌드를 반영한 직업조사시스템의 확대 및 세분화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