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미국기업과 일본기업을 대상으로 이사회 규모 및 이사회 다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비교하고 있다. 이사회 규모는 양국의 기업에서 모두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사회 다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일본기업이 경우 연령의 다양성이 기업 성과를 올리는 데에 기여하였지만, 미국기업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반면에 일본기업에서 전공의 다양성은 기업 성과를 올리는 데에 유의한 효과를 갖지 못하였지만, 미국기업의 경우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단순히 이사회 규모를 확대하는 것만으로는 다양성의 증대로 이어지지 않으며,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령의 다양성, 전공의 다양성 등 다양성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마다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통해 이사회 다양성의 확대는 해당 기업이 가지는 사회적, 문화적 환경이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을 때에만이 그 효과가 발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board size and board diversity on firm performance in Japanese and US companies. Board size did not affect firm performance significantly in both countries. However, board diversity was found to affect firms in two countries differently. Specifically, age divers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firm performance in Japan, whereas it did not affect firm performance in the US. In addition,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firm performance in Japan. while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in the U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versity of the board matters more than the size of the board for firm performance.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effect of director diversity, e.g., age diversity or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on firm performance depends on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the fi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