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아데노바이러스 매개 FHIT유전자 도입이 비소세포폐암 세포의 사멸에 미치는 영향
이태걸 , 정은희 , 오윤지 , 김서윤 , 김혜련 , 김철현
UCI I410-ECN-0102-2014-500-002060328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목적: 폐암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서 3p의 allelic loss가 매우 흔하게 관찰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이 구역에 암억제유전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몇몇 후보 유전자들이 밝혀져 있을 뿐, 확실한 암억제유전자를 규명해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FHIT (Fragile Histidine Triad) 유전자는 후보 암억제유전자로서 3p14.2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러 종양에서 이 위치의 homozygous deletion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FHIT가 결손되어 있는 NCI-H460 세포주에 아데노바이러스를 통하여 FHIT 유전자를 도입시켰을 때 나타나는 세포사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신호전달 기전을 확인하고 암억제유전자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NCI-H460 세포주에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해 FHIT 유전자를 발현시킨 뒤, 현미경을 통해 세포사멸을 관찰하였다. 이후 FACS 및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세포사멸 정도를 확인하였고, 어떠한 기전을 통해 세포사멸이 일어나는지를 siRNA 등을 이용해 알아보았다. 성적: 1. NCI-H460 세포주에 아데노바이러스를 통해 FHIT를 72시간 발현시켰을 때, 대조군에 비해 확연하게 세포사멸을 증가하였다. 2. FHIT 단백질의 유무에 따른 단백질 분석을 통해 이러한 세포 사멸이 증가할 때 apoptosis와 관련된 단백들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더불어 autophagy 신호경로와 관련된 단백들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3. 더불어 FHIT 유전자 도입시 증가하는 세포사멸이 autophagy 를 억제하였을 경우 변화하는 것을 FACS analysis 및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FHIT가 결손된 NCI-H460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 FHIT 유전자를 도입, 발현 시켰을 때 세포 사멸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이러한 사멸에는 apoptosis 및 autophagy 신호전달경로가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