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7.154.63
3.17.154.63
close menu
}
KCI 등재
자아존중감과 성격 특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how self-esteem and personality trait affect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영예 ( Young Yae Lee ) , 안권순 ( Kwon Soon Ahn )
청소년학연구 20권 11호 257-281(25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68697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성격 특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이 자아존중감과 성격특성 및 학교적응에서의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격 특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222명(남: 135명 여: 87명)이었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자아존중감 검사와 성격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성격 특성에서 여학생은 보다 더 높은 사교성을 지니고 있는 반면 남학생들은 보다 더 높은 정서적 안정성을 지니고 있었다. 환경적응은 남학생들은 성실성이 높을수록 여학생들은 성실성과 정서적 안정성이 높을수록, 교사적응은 남학생들은 이타성과 정서적 안정성이 높을수록 여학생들은 성실성이 높을수록, 수업적응은 남학생들은 자아존중감이 높고, 이타성과 성실성 및 정서적 안정성이 높을수록 여학생들은 성실성과 정서적 안정성이 높을수록, 친구적응은 남학생들은 성실성과 이타성이 높을수록 여학생들은 성실성과 정서적 안정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에서 남학생들은 이타성과 성실성이 높을수록 여학생들은 성실성이 높을수록 잘 적응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었다. 연구 주요 결과는 정서적 안정성은 남녀학생의 수업적응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남학생의 교사적응과 여학생의 학교환경과 친구적응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은 학생들의 건강한 학교생활을 도모하고 긍정적인 학교생활 적응 태도를 기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학생 개별적인 적응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self-esteem and character trait affect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ulfill above-mentioned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gend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s self-esteem, character trait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how self-esteem and character tra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investigates 222 students in Chungcheongnam-do, consist of 135 male students and 87 female students, and they are all in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measure self-esteem and character trait, this study use self-esteem scale and character trait scale. Then, the collected data are gone throug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llowings ar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in self esteem and character trait by gender show that ) female students have more sociability than male students while male students have more emotional stability.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emotional stability significantly affects class adjustment in both genders, male students` teacher adjustment and female students` environmental adjustment and peer adjustment. Therefore, this study can promote students` healthy school life and guide positive attitude for school adjustment and seek strategy to improve individual adaptation abil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