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는 저자와 문헌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문헌의 진위문제, 최근 출토된 죽간본과 통행본과의 관계 등 학계에서 논란되는 자료이다. 본 논문은, 雜家와의 경계선을 모호하게 하는 황로학의 연구방식을 지양하기 위해 竹簡本과 通行本이 공유하는 篇章을 중심으로, 도가학파의 道論과 대비시켜 『문자』 황로사상의 고유성에 대해 논의한다. 『문자』는 道法家의 유형으로 파악할 수 없는 儒家類의 황로문헌으로, 老子學에서 발원하여 儒家를 위주로 諸家哲學의 요체를 수용한 문헌이다. 본 논문은, 『문자』는 이론적으로 老子學에서 발원하지만 사회정치적 범주에서 儒家와의 주된 사상적 결합을 시도한 儒家類 황로학이 형성되는 초기의 문헌임을 논증한다.
The Wenzi is the material criticized about the relation bamboo-slip literature and current literatures in the academic world. If is true or not, because we don`t know the author and the records accurately. In this study, to sublate the researching method of HuangLao philosophy that vogues the boundary between Zajia, on the basis of volumes with bamboo-slip literature and the present literatures shared, I discuss the peculiarity of Wenzi HuangLao philosophy, comparing Dao-theory of Daoist. The Wenzi is HuangLao philosophy of Rujia pattern that doesn`t understand as the Dao-Fa school. And its origin is Laozi philosophy. It accepts Zujia philosophy, putting first in importance about Rujia philosophy. In this study, the origin of the Wenzi is Laozi philosophy theoretically, but I discuss that the Wenzi is the early literature forming Rujia pattern HuangLao philosophy. And the Wenzi tries to combine the theory of Rujia in the social political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