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모성적 글쓰기를 활용한 도덕과 수업지도 방안
Digital Media Usage Patterns of Elementary Children and Maternal Writing
이미식 ( Mi Sik Lee )
초등도덕교육 vol. 43 285-306(2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2089018

초등학생들의 문화 현상 가운데 하나는 디지털 미디어의 일상화이다. 일상화된 디지털 미디어는 초등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은 기존 매체와 다르게 쌍방향의 의사소통, 즉시성, 반응성, 상호 작용성의 표현양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가 초래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가치관 변화에 대한 연구는 인터넷과 통신 즉 정보 윤리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 미디어의 세계는 정보차원 보다는 표현과 의사소통을 중시하는 사이버 세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의 매체 특징을 고려하고 이를 활용하는 도덕과 수업 방안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이에 우리는 디지털 미디어가 문자, 이모티콘, 동영상을 통해 의사소통을 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모성적 글쓰기를 활용한 도덕과 수업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lives of elementary children in todav`s world are saturated with digital media. They communicate through digital media and form a variety of social network from them. It would be unimaginable to think of a landscape without smart phones and computers. However. digital media affect the moralities of elementary children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ways. Verbal abuse, vicious reply. pornography. obscene material. and materialist culture are part of the negative aspects of digital medi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lpful teaching methods which can contribute to enabling elementary children to be equipped with sound moral characters. So we postulate that maternal writing is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which can help elementary children both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o shape sound moral relations with them. Thus. this paper shows how teachers introduce maternal writing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