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인간의 근본적인 존재 특성이 실존성이라 는 점과 과학·기술 사회, 자본주의 사회, 세계화·다문화 사회, 공학화 사회로 대변되는 미래사회가 던져줄 존재론적 문제들을 고려할 때, 도덕과교육은 인격교육과 덕목교육 중심에서 철학교육 중심으로 교육적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함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먼저 일반교육학, 사회과교육과 차별되는 도덕과교육의 교과 경계지를 철학적 접근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도덕과교육의 여러 접근들과 철학적 접근을 비교하면서 철학적 접근이 도덕과교육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해야 하는 근거와 의의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철학적 도덕과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론을 소개하면서 도덕과교육이 가치 있는 교과로 존재할 수 있는 대안적 경로를 제안한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a curriculum subject moves from virtues-based moral education to philosophical moral education partly because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human existence is firmly grounded in existentiality and partly because the ontological issues & problems that are expected to emerge from the combined characteristics of technoscientific. capitalist. globalized & multicultual. and positivist society in the future are likely to be more influential on human existence than ever before. This paper. first. positions philosophy as the territory of moral education by drawing the borderlands of general education.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Secondly. it summarizes the epistemological rationale showing why the philosophical approach has to be recognized as the central theme of moral education by comparing the major moral education approaches with the philosophical one. Thirdly. it shows how moral education can be recognized as a meaningful curriculum subject by suggesting the methodological ideas regar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of philosophical mo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