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치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여론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언론의 프레임을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 언론의 프레임은 이데올로기적 양극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공공의제가 왜곡되어 독자들에게 전달됨으로써 공론장에서 언론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진보언론인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이 한미FTA 협상 시작부터 발효까지 전 기간 동안 게재한 사설을 대상으로 프레임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 언론의 이념적 양극화 행태를 밝히고 극복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한국 언론이 안고 있는 ‘유사 권력기관화’ 양상에 주목했다.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중 언론이 세상을 구성하고 틀을 짠다는 프레이밍 이론을 분석연구의 중심 축으로 했다. 한국 언론의 보수-진보 프레임에 관한 분석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미FTA 사설분석으로 도출된 프레임은 외교 프레임으로는 ‘자주-한미동맹(경제동맹)-중립 프레임’ 순으로, 경제 프레임은 ‘이익 불균형- 국가경쟁력 강화- 개방 - 경제적 약자 보호프레임’ 순으로 나타났다. 소구 프레임의 경우 이성적 소구가 감성적 소구 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둘째,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은 프레임 주제별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외교 프레임에서 조선일보는 ‘한미동맹’, 한겨레신문은 ‘자주’ 프레임으로 치열하게 대립했다. 경제 프레임에서도 조선일보는 ‘국가경쟁력 강화-개방’이 주요 프레임이었고, 한겨레신문은 ‘이익 불균형-경제적 약자 보호’ 프레임 순으로 나타나 상반된 프레임을 보였다. 즉 경제 프레임에서도 보수와 진보언론은 정반대의 가치로 대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찬성 및 반대 프레임에서도 조선일보는 96%찬성 논조를 보였다. 반면, 한겨레신문은 반대?유보 프레임이 60%, 중립 프레임이 40%로 반대프레임에 무게가 실렸다. 연구 결과, 한국 언론이 이데올로기적으로 심각한 양극화 양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보수-진보 언론은 한미FTA 찬반을 놓고 합의점이나 접점을 찾지 못했고,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대립 구도는 향후에도 한국사회의 갈등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언론보도에 대한 개별적 프레임 추출 연구를 확장해 언론 프레임이 함의하는 이데올로기적 의미와 여론형성 과정에서 헤게모니적 쟁투 등에 관한 복합적 연구가 필요하다. 즉 개별 미디어 차원을 넘어서서 공론장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민주주의와 소통구조를 만드는 연구로 진전되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nalyse the frames of newspaper editorials tha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the political communication process. Due to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Korean newspapers` framing,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 Korean newspapers distorted the public agenda, and subsequently the newspapers failed to form public sphere. In this context, the study analyzed the editorials on the Korea-USA FTA issues from the commencement to the activation in Chosun-Ilbo and Hankyoreh. While Chosun-Ilbo i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conservative newspaper, Hankyoreh i s r 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progressive newspaper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newspapers, and proposed the possible alternatives to lessen the harmful effects of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newspapers. Through the review of Habermas` public sphere theory, the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seudo-power institution" phenomenon of the Korean press.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review of the agenda-setting theory and framing theory, the study confirmed the media`s role of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The major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iplomacy issues, sovereignty frame and Korea-USA solidarity frame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economic issues, unbalanced interest frame, competitiveness frame, open-door policy frame, and protection of economic minority frame were emerged. It, also, was identified that more editorials had rational appeal frame than emotional appeal frame. Second, Chosun-Ilbo and Hankyoreh showed differences in the thematic frame. Regarding the diplomacy issues, while Chosun-Ilbo framed the editorials in the Korea-USA solidarity frame, Hankyoreh framed editorials in the sovereignty frame. Regarding the economic issues, while Chosun-Ilbo framed editorials in the competitiveness frame and open-door policy frame, Hankyoreh framed the editorials in the unbalanced interest frame and protection of economic minority frame. While 96% of the editorials in Chosun-Ilbo were positive toward the Korea-USA FTA, 60% of the editorials in Hankyoreh were negative toward the FTA. The analyses substantiated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Korean newspapers. This means that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of the newspapers may prompt the conflict in the Korean society. Based on the analyses, the study discusses frame formation process and the impacts of the media frames on the political process.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