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여 년간 환경영향평가는 사전환경성검토제도에 의한 상위행정계획 및 소규모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성 평가, 간이환경영향평가 도입 등의 성과를 축적하였을 뿐만아니라, 평가 항목별, 대상 사업유형별 평가 매뉴얼 및 기법 개발에서 비약적 발전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제도 선진화와 평가기법 외에도 보다 가시적이고 실용성 높은 연구분야로 볼 수 있는 지표 및 지수 개발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하게 시도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최근 대규모 개발사업 또는 환경민감지역에서 진행되는 개발사업과정에서 불거지는 환경갈등 문제와 관련하여, 일각에서 논의되는 환경평가제도 기능의 실효성에 대한 회의론은 개발 행위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환경영향의 평가와 의사결정체계에 있어 보다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표 및 지수 개발이 필요함을 반증해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종합환경영향평가지수 개발을 통하여 단일 개발사업의 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유사 지역·사업유형·사례 등 연계 사업의 계획수립·평가·검토 과정 전반에 관한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보를 지원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토대로 지난 2010년 1차년도 연구를 통하여 종합환경영향지수개발에 대한 10개의 원칙을 기반으로 여러 항목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 참여자들과 다수의 회의를 진행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논의된 사항을 기반으로 종합환경영향평가지수 체계의 기본 범주는 생태적 측면, 자원보전적 측면, 어메니티적 측면으로 정리되었고, 환경영향평가서 내에서 활용 가능한 정량적 데이터를 중심으로 총 33개의 "종합환경영향평가지수 시범(안)"을 정리한 바 있다(환경평가검토센터, 2010). 2차년도 연구에 해당되는 본 연구에서는 기 선정된 "종합환경영향평가지수 시범(안)"을 기반으로 항목별 전문가 및 내부연구진, 외부자문위원이 주축이 되는 브레인스토밍회의와 지수보정과정을 거쳐 가중치 분석을 위한 "종합환경영향평가지수(안)"이 마련되었다. 가중치 분석에는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였으며, 기법 적용과 분석과정에서 제기된 지수 신뢰성 및 적정성 등에 대한 자문위원 및 내부연구진의 논의를 토대로 실제 사례분석에 적합한 "종합환경영향평가지수"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 활용 가능한 총 28건의 지표들이 선정되었고, Level 1에서는 "생태적 측면"이 0.548로 "자원보전적 측면"(0.228), "어메니티적 측면"(0.224)보다 높은 가중치를 나타냈다. 총 28개 지표에 대하여 Level 1의 가중치와 Level 2의 가중치를 모두 곱하여 최종 가중치 값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녹지자연도 6등급 이상지역의 보존" 지표가 0.139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확정된 지수의 검증을 위하여 지난 2000년 이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 검토의뢰된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서 본안을 토대로 하여 2000년 50건, 2005년 50건, 2010년 50건으로 총 150건의 사업을 분석하였으며, 도시개발, 체육시설, 관광단지, 폐기물처리시설, 산업단지, 토석채취사업 총 6개의 사업 유형으로 구분하여 사업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종합환경영향평가지수는 2000년에 7.36. 2005년 8.23, 2010년 9.77로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값이 가지는 절대적인 크기의 의미는 불분명하나 개발 사업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보다 친환경적으로 계획·실행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사업유형별로는 ``체육시설`` 사업이 종합환경영향평가지수 12.87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도시개발`` 사업이 6.04로 체육시설 사업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지수별 분석에 있어서 가장 높은 가중치를 나타낸 ``녹지자연도 6등급 이상 보전지수``와 ``폐기물 발생지수`` 역시 연도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지수들이 2000년도에 비해 2010년에는 그 결과값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5년 단위의 분석이 아닌 매년, 동일한 사업유형의수를 분석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사업면적과 주변 환경 여건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 검토시 객관적인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계량적인 의사결정체계를 구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만 가중치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지수가 가지는 높은 중요도에도 불구하고 평가서상에서 찾기 어려운 지수들이 많아 향후에는 평가서에 이러한 지수들을 기재토록 권고함으로써 사업시행에 앞서 환경적 영향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Recently, as some doubts of effectiveness of EIA was posed concerning environmental disputes, the development of index which can estimate the environment-friendly about the development project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EIA and offering the items should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as developing the Composit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dex. In this study,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final indicator that bases in assesment of environmental project and determine which indicator is most important. First, preliminary surveys and literature review, experts interviews about pre-study(Ⅰ)* result were carried out to find the final indicator and construct the hierarchy. Second, experts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indicato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co consideration(0.548)`` is most important in level 1. In the level 3 the twenty eight indicators were ranked in the order of their relative weight and it was found that the ``6 grade more area of Degree of green Naturality(0.139)`` The Composit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dex was calculated as sum of each indicator which was multiplied data and weight from AHP. In this study,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about the selected 150 development projects of received in KEI for EIA from 2000 to 2010 by year and type of project and indicator. As a result, the Composit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dex gradually increased from 7.36(2000), 8.23(2005) to 9.77(2010). It means that the project was developed more environmental friendly with the course of time and the effort for this was tried. In case of project type, the ``development of gym facility`` was most high as 12.87 and the project about ``urban development`` was lowest as 6.04. Therefore, it can said that from this study the criterion that which index is considered more for environmental development and which project is most eco-friendly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