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3.213.219
18.223.213.219
close menu
}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열섬현상 완화방안 연구
A Study on Strategie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 Effects as Par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Urban Areas
명수정
UCI I410-ECN-0102-2014-500-001759262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특성은 불투수층이 절대적으로 많다는 것이다.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지붕과 같은 불투수층은 태양에너지를 흡수할 뿐 아니라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도시지역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있다. 온도상승은 기후변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우려 사항 중의 하나이며 대도시 지역의 이러한 도시열섬현상은 특히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도시지역에 녹지와 물길을 확충하고 물순환을 개선시키는 것은 식물과 수체의 기능을 최대한 살려 도시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방안이 된다. 이것은 더 나아가 냉방시설 가동률도 낮추어 온실가스 배출도 감축시켜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을 대상으로 온도 분포 지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시의 녹지와 물길이 주변온도를 낮추는 범위를 진단하고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녹지와 물길은 제한된 거리에서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발휘하였는데, 물길의 경우는 약 100m 정도, 도시 녹지의 경우는 약 300m 정도가 온도를 낮추는 효과 거리로 나타났다. 한편, 도시 녹지의 크기는 온도를 낮추는 데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 많은 녹지와 물길을 대상으로 분석이 진행되어야 하지만, 본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여러 개의 작은 녹지나 물길을 조성하는 것이 도시지역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무더운 한여름에 한 번 사용한 물을 길가에 뿌리는 것도 국지적으로 도시의 온도를 낮추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전 지구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는 당분간 더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어 기후변화 적응은 불가피하다. 도시지역은 열섬현상으로 인하여 기후 변화에 더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환경 친화적인 토지이용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