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을 비롯한 많은 유해물질들이 전 지구적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해물질들은 인체 및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해물질들을 모니터링하고 추적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합시스템은 아직 구축되지 않고 있으며, 유해물질들의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영향 역시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SFA는 이러한 유해물질의 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가의 유해물질 관리정책 수립 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SFA의 해외 적용동향 및 각 국에서 사용된 SFA 방법론 등을 조사하여 국내의 SFA 적용방안 및 문제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외국의 SFA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SFA가 정책결정의 도구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SFA가 생산라인의 한 공정에 한정된 것이 아닌, 국가 또는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될 때는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광범위한 경계를 대상으로 한 SFA 작업은 방법론, 데이터 및 제반 여건의 가용성과 대상 물질의 다양한 물질특성에 따라 성패가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