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0.253.240
3.140.253.240
close menu
}
노태호상하수도시스템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및 적응비용 추정 연구
Adaptation Strategies and Potential Costs to Climate Change in Water and Wastewater Sectors
안종호
UCI I410-ECN-0102-2014-500-001759000

상하수도시스템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양질의 취수원 확보 및 안정된 물공급시스템 구축, 도시 우수 배제 및 침수 방지, 상하수도시설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효율적 에너지 이용 등 시설능력 현황 및 유관 정책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갈수기 취수원 수질 악화 및 집중강우로 인한 도시 침수는 그 영향과 위험도가 점차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나 상하수도 시설능력은 뒤떨어져 있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재정투자와 기술,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취수원 수질관리는 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우선되어야 하며, 사전예방 차원의 정수처리시설의 고도화를 통한 안전한 물공급이 필요하다. 현재 지표수 취수원의 42%가 최근 3년간 수질환경기준이 Ⅲ등급 이하로 평가되어 갈수기의 취수원 수질 악화는 점차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체 정수처리 시설용량 대비 58.5%가 취수원 수질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어 정수처리 고도화 비용이 약 3조 3,700억 원 정도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상수도의 안정된 용수 공급을 위해서는 첫째, 상수도 연계운영체계를 구축하여 수계간 부족지역에 대해 여유물량을 활용하여 용수 불균형을 해소하고, 취수원과 공급계통 간의 연계이용을 통해 이상가뭄이나 수질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공급 가능한 상수도대응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상수도시설의 시설능력 평가를 위해 시설노후화, 시설 확장, 유지보수 등을 고려한 가동률과 적정 예비용량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자산관리와 중장기 투자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수자원 이용을 최적화하고 수질오염과 같은 인간에 의한 환경영향이 최소화된 기후변화 대응능력을 갖춘 물 재이용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이용수는 무엇보다도 물수급의 지역적인 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는 대체 수자원으로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빗물 이용 및 하폐수 재이용, 중수도 등 물 재이용 활성화로 확보 가능한 친환경 대체용수의 양은 25.4억톤 규모로 평가되며, 이에 대한 사업 투자비용은 7조 251억 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빈번해지고 있는 도시침수는 대부분 내수침수로 배수능력 부족, 하수 역류, 하수관거 용량 부족 등 하수관거의 우수 배제 기능과 역할 증대가 요구된다. 특히, 과거30년간의 최대강우량 기록 대비 전국의 우수 배제를 위한 설계빈도는 최소 30년 빈도확률강우 이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0년 빈도 확률강우를 기준으로 평가된 용량부족관거 정비규모는 하수관거 연장 대비 전국 평균 12%에 해당하는만큼의 투자가 필요하며, 하수도의 우수 배제 기능 강화를 위한 시설투자 소요비용은 총 46조 2천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막대한 신규 투자 재원을 마련하고 집행하기 위해서는 하수도의 침수 방재 및 물환경 보전의 역할을 법적·제도적으로 재정립함과 동시에 새로운 하수도 비용분담체계 구축을 위한 요금부과의 형평성 확보, 요금정책의 합리화 방안 마련, 이행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우수관거 투자 및 도시비점관리를 위한 재원으로서 빗물 요금 등의 방안을 고려하여 토지 소유자의 빗물관리 의식 제고를 통한 그린인프라 구축 및 빗물 이용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신규재정 확보를 위한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별 상하수도시스템의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살펴보면 상수도는 특·광역시의 경우 재정, 시설능력 및 운영관리 측면의 탄력성이 매우 좋으나, 물이용 부문은 기후변화 대응능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수원의 수질 취약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도시들은 재정과 물이용 두 부문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군단위 지역은 상수도 시설능력과 운영관리의 기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대도시와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운영조직과 운영비의 영세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수도의 적응능력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특·광역시는 강우 유출과 시설능력 부문이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높아 우수 배제에 대한 시설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시군지역은 유지관리 부문의 취약성이 높아 하수도 운영체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necessary to analyze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water and wastewater sectors, such as capacity to secure a good quality of intake water-resources and build stable water supply system, exclude stormwater and prevent over-flooding, and reduce emission of greenhouse gas as well as capacity to use energy effectively. Especially, risk and the effect of deterioration in water quality of intake water resources due to climate change during dry season and the urban inundation due to heavy rain are expected to increase more, but the capacity of water and wastewater system has fallen behind. Based on these facts, there is a need for specific and practical financial investment and technical and politic support.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intake water resources, it should be a top priority to manage the pollution sources, and there remains a need for safe water supply through advancement of water treatment system in the preventive level. As 42% of the intake water resources for the surface water have been evaluated lower than III grade of water quality under environmental standards for the last 3 years, it is expected that deterioration in water quality during the dry season is gradually intensified. Also, it is estimated that about 3.37 trillion won is required for advancement of water treatment, as 58.5% of capacity of the total water treatment facilities has been evaluated as vulnerable. For the stable water supply to waterworks, it is important to solve the imbalance of water with utilizing reserve quantity for insufficient regions between water system by building linked operation system with waterworks, and to equip with ability to respond to waterworks possible to supply through linkage between intake water resources and supply systems even in the case that abnormal drought or accidents in water qual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et appropriate reserve capacity, develop operation rate indicators considering decrepit facilities, facility expansion, and maintenance to evaluate the capacity of waterworks facility, and develop a middle and long term investment plan based on these standards for systematic and sustainable asset management. Also,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use of water resources, and to build infrastructures for recycling water possible to respond to the climate change, which can minimize the environmental effect by human beings, such as water quality problem. Most of all, the recycled water can be actively utilized as water resources that can mitigate local imbalance in water supply and demand. The water quantity possible to be secured as econ-friendly substitute water by activating waste recycle, such as using rain water and recycling sewage and wastewater, and reused water is assessed as 2.54 billion tons, and the costs for investing the project for this is estimated to be 7.0251 trillion won. Due to the urban overflow that has become more frequent in recent, expansion of the stormwater excluding functions and its role, such as deficit drainage capacity, back flow of sewage, and deficit capacity of sewer, are required. Especially, the design frequency for excluding stormwater nationwide compared to the record of the maximum precipitation for the last 30 years is judged to be changed to be more than probability precipitation in at least 30 years frequency. There should be investment equivalent to 12% in nationwide average compared to extension of sewer according to the enhancement scale of sewer capacity deficit evaluated in the standard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in 30 years frequency, and the required costs for investment into facilities for reinforcing the stormwater excluding function of the sewage is assessed as 46.2 trillion won in total. To prepare and enforce financial resources for this massive new investment, there first, there should be fairness of charging the effort to prepare and implement the measures for rationalizing charge policy for building the cost bearing system for new sewage, as well as legal and institutional reestablishment of the role of sewer overflow prevention and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Especially, it is judged that there remains a need for the policies that can provide the foundation for securing new sustainable finance, prompt use of rain water, and build green infrastructure through improving awareness of rain water management of the land owner, with considering measures, such as investment into storm sewer and rain water charges as finances for urban non-point management. Seen with adapting ability of the water and wastewater system to the climate change for each region, it has been shown that, for the waterworks, the metropolitan cities have a good flexibility in the facility capability and operation management aspect, while they are highly vulnerable to adopting ability to the climate change. Especially, they have shown us their vulnerability in water quality of the intake water resources. In middle and small cities, finance and water recycling have been investigated as relatively vulnerable, whereas the capability of waterworks facilities and the function of operation management ha have been shown as vulnerable in the country-basis regions, which have shown difference from the metropolitan cities. This difference is seemed to be incurred due to paltry operation costs and operating organization. Seen with the result of evaluating adapting ability of sewerage, it is shown that there remains a need for reinforcement of the facilities for excluding stormwater, as high vulnerability has been indicated in the stromwater management and capacity for facilities in metropolitan cities. On the other hand, for cities and countri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improvement of sewage operating system is urgent as there is a high vulnerability in maintena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