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은 광합성과 같은 대사과정을 통해 대기의 오염물질을 흡수, 정화할 뿐만 아니라 기공에서 인체에 유익한 물질들을 배출하기도 하고, 도심의 미기상에 영향을 미쳐열을 식히고 대기오염 물질의 분산에도 일조한다. 또한 회색으로 뒤덮인 도시에서 녹지의 푸른빛은 심미적 효과와 함께 사람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며, 수목은 지표의 침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수목은 다양한 분야에서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대기오염이 심화된 도심지역에서의 녹지(수목)는 특히 대기질 개선 측면에서 최근주목을 받고 있다. 도심녹지의 대기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녹지의 오염물질 흡수능력과 더불어 바람과 같은 미기상 현상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나,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녹지의 오염물질 흡수량만을 계산하는데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바람이부는 실제 계에서 오염물질의 농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국, 수목의 오염물질 흡수능력 및 수목에 의한 기류변화 등이 실제로 도시의 국지적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라 할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수목의 오염물질 흡수작용과 도시미기상 현상 그리고 오염확산 과정을 동시에 고려한 모델링기법을 개발, 적용하여, 도심녹지의 대기질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의 다양한 기능중에서도 도심녹지의 대기질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심의 여러 녹지 형태 중 「근린공원 녹지」와 「도시협곡(street canyon)의가로수」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두 형태의 녹지가 가스상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위해 녹지의 대기환경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링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좀 더 광역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오존 등과 같은 다양한 오염물질의 대기영향이 분석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근린공원은 도심에 설치되는 도시공원의 대표적인 한 유형으로 실제의 환경에서 이러한 규모의 녹지가 대기환경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도시협곡이란 차도를 따라 빌딩이 줄지어 배치된 지역으로, 국지적 대기환경이 심각하게 악화될 수 있는 지형조건이라는 점에서 도시협곡 내의 대기질 환경문제는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의 대기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녹지로서 근린공원의 녹지와 도시협곡에 식재된 가로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링을 통한 녹지의 대기환경영향 평가시스템을 여러 사례에 적용하여봄으로써 도시녹지의 유형별 대기오염저감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로부터 도시녹지의 대기질 개선효과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조건을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의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녹지계획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rees absorb and purify the air pollutants through their metabolism such as photosynthesis, emitting some beneficial substances for human body through their pores. They not only influence on the urban micro meteorology into cooling down and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but protect the Earth from the various erosions as well. Also the green color of the trees provides people with aesthetical effects and psychological tranquility. As you can see, trees do a lot of good for humankind. This first year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urban treed area and the atmosphere environment out of the various functions of trees, specifically, to explore 「the gas-phase air pollutants(SOx and NOx) decreasing function of trees in urban area」. In other words, this study choses the urban area as its site, for the urban area had been a major concern of air pollution matter, and the focused air pollutants were sulfur oxides and nitrogen oxides, both of which were gas-phase pollutants. Further studies, based on this year`s one, may be carried out for more extensive areas and for more diversified air pollutants like ozone, etc.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general air purifying function of trees. The studies on impacts of trees on air quality in urban areas consider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of trees and wind flow, however, has rarely been reported. That is because they assume the atmosphere improvement by trees`s function of absorbing pollutants might be small in smaller treed area, and also because there is no fully established modeling method to analyse a relatively small-scale phenomenon of the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classified the urban treed area into neighborhood parks treed area and street canyon trees. It also developed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for evaluation of the atmosphere influence related to the gas phase air pollutants(sulfur oxides and nitrogen oxides) in these two areas. The neighborhood park is a typical urban park, thus it is assumed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much that size of treed area could influence the atmosphere environment in actual settings. A street canyon is an area, formed in a street between two rows of tall buildings. It is a geographically handicapped area with a great potential of danger in local atmospheric pollution, so its atmosphere environment is a lot more important issue. Through the above mentioned modeling method, evaluation system of air quality influence in treed area had been adopted in a number of cases to analyse the air pollution decreasing function of trees with regard to the types of urban treed area. From this, the best settings for encouraging the atmosphere improving function of urban treed area were searched. The result w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planning of treed area to improve the urban ai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