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68
18.97.9.168
close menu
Candidate
스크린댄스의 등장과 정의
The Emergence and Definition of Screen Dance
이은이 ( Eun Yi Lee )
현대영화연구 vol. 16 171-200(30pages)
UCI I410-ECN-0102-2014-600-002084350

무용과 미디어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두 영역의 관계는 밀접하다. 무용은 영화나 비디오, 텔레비전 등 미디어의 역사 초창기부터 미디어에 도입됐다. 방송국은 현대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편성해 왔고, 영화산업에서 춤 혹은 무용은 빼놓을 수 없는 소재로 활용돼 왔다. 미디어 아티스트들과 미술가들 역시 무용을 작업 소재로 활용해 왔다.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현대 무용가들이나 안무가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미디어를 활용해 왔는데, 대체로 무대 위에 일종의 무대 디자인 개념인 기술적인 장치로 활용하거나 미디어를 통해 무용 영상을 보여주는 양상을 보인다. 무엇보다 스크린을 통해 무용을 보여 준다는 것은 단순히 무용을 상영한다는 차원을 너머서 ‘스크린 댄스’라는 하나의 장르로 발전됐다. 오늘날 많은 무용가들과 안무가들은 오직 스크린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무용을 창작한다. 즉 스크린 댄스는 미디어의 스크린을 통해 펼쳐지는 무용의 한 장르로, 안무가, 무용가, 영화 제작자들이 협업해 제작된다. 스크린 댄스를 정의할 때 ‘댄스 필름 혹은 무용 영화’, 즉 무용이 테마로 활용되는 영화와 그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스크린 댄스는 단순히 3차원의 공연이 2차원의 평면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클로즈업 같은 카메라 테크닉, 편집 등의 영화 기법을 통해 실제적인 평면에 내재돼 있는 가상의 잠재력을 펼치는 것이다. 이것은 시간 속에서 진행되는 움직임이라는 무용의 개념을 보다 강화시키고, 무용수의 표정, 손가락의 움직임 같이 객석에서 잘 보이지 않는 세밀한 것들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지각의 영역을 벗어나 카메라 혹은 기계의 눈을 통해 주어진 전혀 예측할 수 없고 상상할 수 없는 새로운 이미지 혹은 움직임을 읽어내고 생각하도록 우리를 고무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