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7.11.6
18.117.11.6
close menu
}
KCI 등재
초등학생의 정서, 성취정서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조한익 ( Han Ik Cho )
초등교육연구 26권 4호 229-250(2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38380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정서, 성취정서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744명이며 남학생은 369명, 여학생은 375명이다. 측정도구는 정서와 성취정서 검사이며 학업성취도는 도학력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수업상황에서 정적정서는 즐거움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적정서는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즐거움 성취정서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불안감 성취정서는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숙제상황에서 정적정서는 즐거움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적정서는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시험상황에서 정적정서는 즐거움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 성취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적정서는 불안감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불안감 성취정서는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744 students in which boys were 369 and girls were 375.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emotion and achievement emotion scale. Academic achievement tests wer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administered by the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Statistical methods are 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by SPSS 21.0 program. Model fit and mediation effects of research model was analyzed by Mplus 6.0 program. In the class-related circumstance, posi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enjoy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Enjoyment, positive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but anxiety negative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omework-related circumstance, posi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enjoy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In the test-related circumstance, posi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enjoy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nxiety.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anxiety lower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achievement emotions and its related variables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