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21.206.153
3.21.206.153
close menu
}
KCI 등재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Creativity Education Perceived by Preservice Teachers with Practicum Experiences
정혜영 ( Hye Young Chung ) , 최규리 ( Kyou Lee Choi )
초등교육연구 26권 4호 173-199(27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38360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을 경험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및 예비 교사교육의 방향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창의성은 과정이 중요시되고 교육이 가능하며 교사의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였으며,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 있었으나 분명하게 알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추후 연수나 워크숍 참여를 희망하였다. 교육실습의 경험을 통해 창의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창의성 교육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변화를 보였다. 또한 창의성 교육은 창의성 자체 혹은 창의성 기법에 초점을 둔 교과외 활동을 통해 시도 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교육실습학교에서 예비교사들이 인식한 창의성 교육은 과정 중심·교과내용 중심으로 시도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교육과 교사교육의 내용 및 방향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n aspect of creativity education perceived by preservice teachers with practicum experiences. The questionnaire and follow-up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eservice teachers focused on a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an output resulted from learning; they showed an interest in creativity education, however, they did not know what it is and how to facilitate so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and/or workshops about it in the future. Having the practicum experiences, the preservice teachers had not been changed their perceptions on creativity but represented some changes on creativity education. They perceived the practicum experiences made them a positive change on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the methods for creativity education toward student-centered, process-oriented, content-focused. The results suggest on what would be and how could be for better creativity education for preservice and in-sevice teach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