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 강사의 초상: 컴퓨터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Portrait of an After-school Computer Teacher: Qualitative Study of Teaching Experiences at Computer Classroom
조숙희 ( Sook Hee Cho ) , 전영국 ( Young Cook Jun )
UCI I410-ECN-0102-2014-300-00163835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 강사가 학생을 가르치는 경험을 통하여 겪게 되는 갈등과 어려움 등과 관련된 주관적 느낌을 질적으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10여년의 경력을 가진 초등학교 방과후 강사 1명을 대상으로 2013년 1월부터 2월까지 심층면담을 3회 실시하여 인물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전사 자료를 코딩한 결과에 따라 시간흐름표와 주요 내용을 투사한 맵을 작성하였고 연구참여자(향기 선생님)가 생생하게 들려주는 목소리를 통해 내면의 세계를 조망한 후에 초상화 기법에 터하여 입체적인 묘사를 시도하였다. 이 초상 글쓰기는 향기 선생님이 교직을 선택하게 된 동기, 아이들을 처음 가르쳤을 때의 느낌, 신임 강사로서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통하여 보다 나은 방과후 컴퓨터 강사가 되고자 하는 고차적 양상을 보여준다. 이 사례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향기 선생님이 컴퓨터 방과후 강사로서 겪는 직업적 갈등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통합적으로 묘사하였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how an elementary after-school teacher reveals her inner professional development career as she reacts to her inner dilemma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s among school kids, teachers and parents while teaching computer in an elementary classroom. The single after-school computer teacher was selected and three in-depth interviews were arranged between Jan and Feb in 2013. We first worked out a timeline and map in order to grasp her major strands so that we were able to depict her inner aspects as a whole in terms of portraiture. The portrait illustrates several aspects such as motivation to become a computer teacher, teaching experiences as a novice teacher, personal growth, feeling difficulties faced in a computer classroom as she struggles to overcome such hurdles to become a better person. Also this case describes the conflicts between herself and the kids, difficulties of having nice relationships with troublesome kids as well as parents, outer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organization as a temporary teacher. All of these wholistic picture reveal her inner vocational dilemma and sufferings regarding her identity as an after-school computer teach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