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6.176.19
3.146.176.19
close menu
}
KCI 등재
영화에 나타난 자살과 종교치유에 관한 연구:<도가니>, <내 이름은 칸>, <세 얼간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Suicides and Religious Healings depicted in the Films: Case Studies on "Silenced," "My Name is Khan" and "Three Idiots"
안신 ( Shin Ahn )
종교문화비평 23권 307-347(41pages)
UCI I410-ECN-0102-2014-200-001510326

이 논문은 현대사회의 문화콘텐츠를 대표하는 영화에 담겨져있는 구원의 도식을 발견하기 위하여 자살과 종교치유의 관점에서 영화 <도가니>, <내 이름은 칸>, <세 얼간이>의 내용을 분석한 글이다. 전통적으로 종교는 오랫동안 생명존중사상을 가르쳐왔지 만 현대사회에서 자살은 커다란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실태를 반영하고 있는 영화에서도 자살은 대표적인 죽음의 유형으로 자리를 잡았고 다양한 의미로 해석 되어 왔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그 문제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구원의 도식으로 영화가 담고 있다는 점이다. 첫째로 한국영화 <도가니>는 장애학생들에 대한 조직 적인 교사들의 성폭행사건을 다루고 있다. 성폭행의 피해자들은 공포와 위협 아래 침묵 하거나 자살을 선택하였다. 사회의 안전망으로 기능해야 할 교육, 검찰, 경찰을 비롯하여 심지어 기성종교의 관계자들까지도 가해자들을 옹호하기에 바빴다. 영화전반에서 이 러한 기성종교에 대한 암울한 이미지가 두드러지지만 공지영의 소설 《도가니》에서는 피해자들이 정의실현을 위하여 기도하며 종교적 삶을 사는 것으로 표현된다. 좌절과 소망 의 양명성이 종교의 이미지에 교차되어 있는 것이다. 둘째로 인도영화 <내 이름은 칸>은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9 11 자살테러 이후에 미국사회의 종교적 소수자들에 대한 문화 적 편견과 공포증을 다루고 있다. 아들의 죽음으로 칸의 행복은 깨어지고 대통령을 만나 결백을 확인받으려는 무모한 여행이 시작된다. 기성종교의 편견과 폭력성이 제시되면 서도 용서와 평화의 긍정적 이미지도 함께 묘사된다. 참된 마음에 기초한 구체적 선행의 실천만이 종교의 가치를 판단하는 진정한 기준으로 제시된다. 셋째로 또 다른 인도영화 <세 얼간이>는 인도의 잘못된 교육제도에 맞서는 세 청년들의 고뇌와 모험을 다룬 코미 디영화다. 경쟁과 취업 위주의 획일화된 교육제도 앞에서 자살을 선택하는 학생들과 그 에 대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한 청년의 꿈꾸기를 다룬다. 힌두교는 기복종교로 묘사되지 만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은 “알이즈 웰”과 같은 마음의 주문에 달려있다는 메시지를 전 한다. 요컨대 세 영화는 교육현장에서 벌어진 자살을 주요 모티브로 삼으면서도 사회에 만연된 문제로서 장애학생들에 대한 성폭행, 종교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 교육제 도의 왜곡과 획일화를 지적하고 있다. 강조하는 방점은 다르지만 종교가 인간에게 구원 의 도식을 제공하듯이 영화에서도 새로운 가치를 토대로 신종교들이 등장하기도 하며 나아가 영화 자체가 일종의 종교로서 치유의 기능을 감당하기도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suicide and religious healing which appear in three films such as Silenced, My Name is Khan, and Three Idiots. Traditionally religions have taught the reverence for life, but recently suicide became a serious issue in modern society. Some films reflect social problems, and other films change the world permanently by offering the grammar of salvation (or soteriology) to people. First, a Korean film, Silenced, embodies sexual violence against disable students by their teachers within special school. Educators, police, prosecutors, and religious priests empower sexual offender rather than helping victims. This film shows two sides of religion: hope and dispair. Beyond the existing religious system, main characters are described as religious figures. Second, an Indian film, My Name is Khan, gives us serious racial discrimination against Muslims after 9/11 event, which creates prejudice and Islamphobia among American people. As Christians have religious bias against people of other faiths, radical Muslims tends to become violent. This film emphasizes the dimension of hope and peace as the essence of religion. Third, another Indian film, Three Idiots, debunks the reality of distorted educational systems, which overemphasize endless competition and worldly success. Three friends followed their own dreams of photographer, businessman, and scientist with free will. Hinduism is described as the tool of wealth and blessing. This film argues that the real solution to problems clings to the heart of people. In conclusion, three films use suicide scenes as the important motives of main theme. The suicide of disable children, terrorists, or young people plays the role of resisting social structures and transforming values in society. Though real life doesn`t give us any clear solution to existential problems, films contain the religious matrix of salvation or liberation from eternal dilemm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