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섹스 앤 더 시티”: 섹슈얼리티, 몸, 쾌락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 다시 읽기
Rethinking of Augustine`s View on Sexuality, Body and the Pleasure
안연희 ( Youn Hee An )
종교문화비평 vol. 23 141-184(44pages)
UCI I410-ECN-0102-2014-200-001510280

아우구스티누스는 섹슈얼리티, 몸, 욕망, 쾌락에 대한 서구 그리스도교의 부정적이 고 억압적 전통의 원천으로 주로 비판을 받아 왔다. 그러나 후기 고대 엘리트들의 금욕주의 풍토와 초기 그리스도교의 급진적이고 반사회적인 동정의 열정, 4세기 이후 요비 니아누스가 촉발시킨 금욕과 결혼의 영적 위계에 대한 논쟁, 펠라기우스/율리아누스 논쟁 등을 배경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작들을 꼼꼼히 검토해보면, 상당히 다른 측면과 그의 유산의 복합성을 발견할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적 작업은 그리스도교가 반사회적 소수 종교로부터 공인 이 후 주류 사회와 통합되기 시작한 4, 5세기를 배경으로 한다. 그리스도교의 금욕적 실천 에서 종말론적 열의와 강한 자유의 함축이 뒷전으로 밀려나고 영적 위계 문제를 통해 성스러움을 재편함으로써 적극적으로 보편적 교회의 질서를 구축하려는 과정이 전면에 대두되던 시대였다. 그런 상황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금욕적 이상과 결혼의 선함을 이분 법적으로 보는 당시 논쟁의 어느 한 편에 서지 않고, 개개인의 동정의 덕을 특권화하거 나결혼(의 섹슈얼리티)에 온전한 거룩함을 부여하기보다 구원의 은총을 독점한 보편 교회의 교권을 수호하는 방향으로 역설적인 중도의 신학을 전개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결혼의 유익함을 인정하지만 결혼의 섹슈얼리티를 결코 신비화 하지 않았으며, 결혼보다 동정의 영적 우위를 인정하지만 동정녀나 금욕 수도자조차 원 죄의 징후인 정욕으로부터 스스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하며 금욕의 특권화를 경계 했고, 정욕과 섹슈얼리티를 원죄와 관련하여 부정적으로 규정하지만 결혼의 정욕과 육 체의 정욕을 구별하면서 죄에 물든 육체의 정욕과 다른 무죄한 정욕의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섹슈얼리티와 쾌락을 벗어야 할 죄의 몸에 할당하지만, 성차와 감각, 감정, 욕망을 가지며 섹슈얼리티의 가능성도 배제되지 않는 부활의 몸에 대한 확고한 믿음은 섹슈얼리티와 몸, 쾌락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의 양가적 태도와 복합적 성격을 잘 보여 준다. 결론적으로 볼 때 아우구스티누스는 몸과 욕망, 감각, 감각적 쾌락 자체를 부정함 으로써 극복하려한 당대의 이원론적 금욕주의가 아니라, 그것을 죄와 구원의 역설적 거 점으로 보는 그리스도교 신학을 정초했다. 구원을 필요로 하는 인간실존을 영속적 죄의 식과 불안의 대상, 즉 죄의 몸으로 간주하여 부정적이고 억압적인 관점을 확립했지만, 구원의 비전 속에 온전한 기쁨, 진정한 쾌락과 함께 도래할 부활의 몸을 염원함으로써 섹슈얼리티와 몸, 쾌락의 존재론적 의미를 긍정하고 역설적으로 그리스도교 문화의 지 속적 관심사, 중요한 초점이 되게 한 복합적인 유산을 남겨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think about and revaluate the Augustinian legacy on sexuality, body and pleasure in christian west. Augustine has been widely blamed for his negative views about sexuality, body and pleasure, resulted from his doctrines of original sin. But re-reading Augustine` text concerning these topics will correct such a simple understanding and some misconceptions, and enable to delineate the outline of his complex influences on these issues. Given his historical context, or new currents and agenda of dominant church after Constantine`s revolution, his solution to, especially, the Jovinianist controversy can be estimated as a process to establish a theological foundation of catholic church by re-arranging the sacred and confirming spiritual hierarchy. He defended the spiritual, ecclesiastical authority of catholic church and its agents (such as bishops) rather than was alternatively on the side of either individual ascetics practicing ideal virginity ardently or major married Christians. First, Augustine never didn`t mystify marriage and sexuality in spite of defending the goodness of marriage theologically. Second he emphasized that even ascetic monks and consecrated holy virgins were never free from the struggles with concupiscentia, disregarding his agreement to spiritual superiority of holy virginity over the christian marriage. Third, he didn`t eliminate body, sensible pleasure and sexual differences in his vision of salvation, and moreover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nnocent sexuality in resurrection bodies, while he made a constant connection of sexuality, carnal desire, pleasure with sinful body 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e above his paradoxical arguments, we can infer that Augustine`s influences on sexuality, body, pleasure are very subtle and ambivalent. To sum up, Augustine chose an different way from the dualistic asceticism of his days which tried to overcome human physical existence such as body, sex, and sensible pleasure by denying them. Instead he established paradoxical theology affirming both sinful body and resurrection body as a human existence which should be saved in itself.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