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문화자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ltural Capita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rea
전혜진 ( Hye Jin Jun ) , 김수정 ( Su Jung Kim ) , 최샛별 ( Set Byol Choi )
조사연구 vol. 14 iss. 3 157-190(34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74420

본 연구는 교육불평등을 설명함에 있어 학교라는 공간과, 특히 교사의 역할에 주목한 부르디외의 문화재생산론을 이론적 자원으로 하여 실제로 교사들이 지배계급의 문화전수자로서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이 보유한 문화자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비례할당 표집을 통해 선정한 서울 소재 초등학교 교사 47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와, 2011년 <문화생산과 소비의 지평: 문화자본에 관한 경제사회학적 접근> 연구단이 실시한 ‘문화자본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자료 중 본인의 문화소양에 대한 평가, 고급문화 활동에 대한 선호도 및 친숙도, 고급예술 작품에 대한 인지도에 대한 문항들을 일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소재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국의 성인남녀 및 전국의 중상계급과 비교할 때 본인의 문화 소양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한편, 고급문화 활동에 대해서도 더 높은 수준의 선호도와 참여도를 보였으며, 예술작품에 대해서도 가장 높은 수준의 인지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같은 문화자본 보유량에 있어서도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인지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서울 소재 초등학교 교사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풍부한 양의 문화자본을 보유하고 있으며, 문화자본의 보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교사 여부가 그들의 문화자본 보유량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한 본 연구는, 그 이론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조명 받지 못한 교사들의 문화자본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지며, 나아가 부르디외의 주장대로 교사들이 학교 공간에서 지배계급의 문화전수자로서의 조건을 갖추고 있어 불평등한 사회구조 재생산의 메커니즘 내에서 그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두 번째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f teachers are truly qualified to be culture initiators of the ruling class based on Bourdieu`s cultural reproduction theory as theoretical resource, which especially pays attention to the role of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capital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rea hold. Two survey data sets are utilized. One is conducted on 470 teachers in Seoul through a sample allocated proportional to region. The other is ‘Study on the Perception of Cultural Capital’ conducted in 2011. From these data sets, questionnaires on evaluation of one`s cultural knowledge, preference and familiarity of high-culture activities, and recognition of high art were used for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adults and middle class nationwid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rea evaluated their cultural knowledge highly, show higher level of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in high-level culture, and have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in art works. The grou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rea holds an abundant amount of cultural capital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fact whether being a teacher do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cultural capital holding even when controlling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can affect the holding of cultural capital. Despite its theoretical importanc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since it was conducted on cultural capital of teachers who have not studied enough in the past. Moreover, this research identifies that teachers can play an important role within the mechanism of unequal social structure reproduction in their school space with the condition of being a cultural initiator in the ruling class as Bourdieu argu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