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차 교육과정이후 학생들의 수학 학습을 돕기 위해서 다양한 평가 방법으로 학습 과정 및 수학 수준 등에 대하여진단해야하는 평가의 중요성이 꾸준히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인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구를 활용한 평가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선 교구를 활용한 평가에 적합한 평가원리를 설정하여 각 영역별로 문항과 채점기준표를 개발하고 예비 연구를 실시한 결과 관찰체크리스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나아가 예비 연구를 바탕으로 수정된 평가모델을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한 결과, 수학적과정인 각 영역별 특성에 따른 채점기준표에 의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목표지향평가가 용이해짐을 알 수 있었다.
Students` learning processes and mathematical levels should be correctly diagnosed in many different methods of assessment to help students learn mathematics. The study developed the model for the process-based assessment while using manipulatives in the middle school in order to improve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which are emphasized in 2009 reformed curriculum as the areas of mathematical process. Identifying the principles of assessment,we created the assessment model for each area and carried out a preliminary study. Based on this, we revised the representative items and the observation checklist and then conducted a main study. Through the results of assessment,we found that students` thinking processes were well presented in scoring rubric for their responses on each item. It meant that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as a criterion-referenced test was achie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