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10.108
3.145.10.108
close menu
}
KCI 등재
신종자본증권(Hybrid Instrument) 분류에 대한 정보적?측정적?경제적 파급효과 접근(금융부채 vs 지분상품)
Information, Measurement, and Economic Consequence Perspectives on Classification of Hybrid Instrument under K-IFRS (Financial Liabilities vs Equity Instruments)
권수영 ( Soo Young Kwon ) , 황유선 ( Yoo Sun Hwang )
회계저널 22권 6호 39-68(3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03360

두산인프라코어는 2012년 10월 국내 일반기업으로는 최초로 5억 달러 규모의 풋옵션 조건부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였다. 신종자본증권은 이자를 지급하지만 주식처럼 만기가 없으면서도 매매가 가능해 채권과 주식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제회계기준(IFRS)은 신종자본증권이 자본의 조건을 충족할 때 자본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이러한 신종자본증권의 회계처리에 대하여 여러 이해관계자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신종자본증권 분류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내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두산인프라코어는 신종자본증권 전액을 자본으로 분류하여 2012년 재무제표를 공시하였다.

In October 2012, Doosan Infracore issued a $ 500 million hybrid instrument in oversea markets. Hybrid instrument is considered a bond because it pays out a coupon regularly. But it is also a type of equity because it doesn`t have a maturity date and it can be traded in the market. Hybrid instrument hold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debt and equity, while hybrid instrument can be classified as equity in the accounting standard. However, there has been the controversy over whether Doosan Infracore`s hybrid instrument can be treated as equity in the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