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8.19.129
18.118.19.129
close menu
}
KCI 등재
북한소설의 "과로" 양상과 전쟁의 수사 -"수령" 과 긍정인물의 성격 형상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Overwork" in North Korean Short Stories and Rhetoric of War -Characters of Suryeong and Positive Figures-
최강미 ( Gang Mi Choi )
사이間SAI 15권 213-249(37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2083773

이 글은 북한소설이 드러내는 여러 측면의 과잉성에 주목하여 북한소설 서사의 성격을 탐색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인물 형상화 문제와의 관련성하에 전체 작업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생산현장을 다룬 소설에서 헌신을 표현하는 주요 이미지인 노동에 대한 태도를 ``과로``라는 용어로 포괄하고 수령이 표면화 된 정도가 대조적인 두 소설을 대상으로 과로의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해석해 보고자 했다. 과로는 1960년대를 전후한 문학비평에서도 그 조짐이 발견된다. 특히 일제 식민지와 6·25 전쟁으로 대표되는 인민들의 극한적인 생존 경험과 새것과 낡은 것의 투쟁이라는 역사 인식, 그리고 전형적 환경에 대한 논의 등은 정전 이후에도 서사가 요구하는 전쟁 상황의 연장과 과로로 형상화되는 희생성의 관계가 어떤 구도 위에 놓이는지 보여 준다. 대표적인 수령형상문학 계열 소설인 「큰 심장」에서 수령의 과로는 종종 직접 서술로 제시되어 모호함과 오해를 최소화하며 대부분 타인들의 흠모의 정서로부터 포착된다. 모든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는 수령은 과로에도 뚜렷한 지향을 지닌다. 따라서 그의 노동은 과도하지만 실수나 낭비가 없다. 수령의 목적은 단지 문제 해결이 아니라 인민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양하는 것이다. 수령형상문학 계열의 긍정인물은 긍정적인 과로의 자질을 갖고 있지만 수령의 올바른 영도와 접촉한 후에야 비로소 문제 해결을 위한 생산성을 발휘하게 된다. 그의 과로는 수령에 비해 간접적 서술이나 묘사를 통해 표현된다. 서사 내에 수령이 전혀 언급되지 않는 「우뢰소리」의 긍정인물은 과로의 일차적인 목표가 문제 해결에 있다는 점에서 수령형상문학 계열 소설의 긍정인물과 같다. 그러나 그 과로의 원천인 전쟁 기억을 환기시켜 주는 매개로서의 수령이라는 권위는 없다. 따라서 전쟁 경험이라는 신성한 원천 자체가 서사 전면에 등장한다. 이 세유형의 인물들에는 모두 과도한 노동 태도가 일상화되어 있으며 이를 추동하는 에너지의 원천이 전쟁 경험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면에서 공통적이다. 현실에서 전쟁의 수사는 전쟁 상황을 비전시에도 연장하여 사회통제를 강화하고 동원을 일상화하는데 기여한다. 북한 서사 역시 전쟁 수사의 일반성을 반영한다. 동시에 그것을 형상화하는 기제로 빈번히 과로가 등장한다는 특수성을 갖는다. 즉 북 한소설에서 긍정인물의 희생정신을 찬양하기 위한 형상화 도구로 빈번히 등장하는 과로의 패턴은, ``전시의 노동 강도를 요구하는 일상``의 반영이며 이는 북한의 소설 서사가 지닌 여러 측면의 과잉성중 하나로서, 본질적으로 노동 강도가 높을 수 없는 사회에서 강도 높은 노동에 대한 현실적 필요를 채우기 위한 일종의 균형 전략일 수 있다.

This paper is part of a larger work exploring the peculiarities of narratives in North Korean fic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various kinds of excess. Specifically, the potential image of ``overwork`` conceptualized in this paper can be found in literary criticism of the 1960s, before the emergence of literary theory on Suryeong-hyeongsang-munhak(the literature of the Great Leader`s imagery). Such images are constructed through reminding excessive experience of people under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in the Korean War. In addition, the same sacrifices necessitated by war continue even to the present, meaning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essentially similar to the wartime circumstances of the past(the narratives look like cognizing the world). People still must fight to acquire ``new things`` as opposed to ``old things`` as in the tyrannical past, so same sacrifices are still required and one of the shapes for expression of the sacrifices is ``overwork.`` Therefore, the pattern of overwork seen in North Korean fiction will reveal people`s basic values related to society through narratives about the pressures of productivity. Furthermore, this will be related to the general meaning of war rhetoric, one of the special meanings of North Korean narrativ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wo short stories focusing on the imagery of figures:Great Heart and The Sound of Thunder. From these short stories, we can extract three types of characters for analysis: ``Suryeong(the Great Leader)``, ``positive figure with Suryeong,`` and ``positive figure without Suryeong.`` The first two are from Great Heart and the last one is from The Sound of Thunder. Aspects of Suryeong`s overwork are often revealed through direct statements, thus minimizing any misunderstanding or ambiguous interpretation, and most of these aspects are related to people``s adoration of Suryeong. His overwork has a clear aim, and at the same time he is a perfect problem-solver who has the key to all difficulties. Therefore, his work is excessive but includes no mistake or wasted efforts. His real aim is not just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directly but to give people lessons for solving problems in general. The second one, positive figure with Suryeong, has the potential for positive overwork, but only after contact with Suryeong can the productive capacity to solve the problem be developed. Unlike Suryeong, his overwork is often expressed through description or indirect statement in the narrative. Similarly, the overwork of the last one, positive figure without Suryeong, has as its first aim the solving of the problem. However, there is no authority Suryeong to serve as a bridge to remind the war experience which is a fundamental source of the figure. Therefore, the divine source, which is the war experience itself, overwhelms the whole narrative directly. There are shared aspects between the three types of characters, as the attitude of overwork involves the discipline of daily life, and the impetus for their ``overwork`` comes from the war experience. In North Korean narratives, the pattern of ``overwork`` that often appears as self-sacrifice is a reflection of ``daily life required to do the labor in the field and life in a time of war.`` As one of the various types of excess found in North Korean fiction, it can function as a kind of strategy for balance which is to fulfill real needs that must have high-grade labor in the real-world society, essentially, where existence of high-grade labor itself is impossibl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