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전체를 통한 예술의 성찰 -조요한의 한국미 탐구를 중심으로-
Reflections on Art through the Whole -Yohan Joh`s Methodology of Art History on Korean Beauty-
목수현 ( Soo Hyun Mok )
미학예술학연구 35권 115-136(22pages)
DOI 10.15727/JASA.35.0.05
UCI I410-ECN-0102-2014-600-002034158

이 글은 이경 조요한(1926-2002)의 10주기를 맞이하여 그를 추모하면서 그의 예술철학에서 한국미술에 대한 관심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조요한은 철학자로서 그리스철학에 천착하여 서양 고대 철학자들의 예술관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했지만, 그가 현재 마주 하고 있는 한국미술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조요한은 예술을 대할 때 이론으로서보다는 작품을 중심으로 한 예술론을 추구하였다. 그가 작품을 중심으로 예술을 생각한 것은 화가 김환기나 미술사학자 최순우 등과의 교유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 그는 미술사학자고유섭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았으며 무용가 최승희의 춤, 안견과 정선의 그림, 성삼문과 박팽년의 시조, 정철의 가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한국예술에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조요한은 한국적 조형미의 역사성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고유섭이 한국미에 대해 이야기한 ‘무기교의 기교’ 개념에서 ‘비균제성’과 ‘자연순응성’ 개념을 추출해 내었으며, 한국문화의 뿌리가 무교(巫敎)에 있다고 보고 ‘신바람’ 개념을 이끌어내었다. 따라서 그의 이러한 연구는 한국미술사와 미학을 연계하는 미술사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데로 나아갔다. 그는 한국미술사에서 양식적 흐름에서 시대를 관통하는 정신을 찾아내고자 하였으며, 한국의 미술을 자체의 흐름만으로 보고 독자성을 주장하기보다는 일본, 중국 등 주변국은 물론 동양과 서양의 비교를 통해 객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Yohan Joh`s interest in Korean arts in his philosophy of art, commemorating the memory of Yohan Joh(1926-2002) in the 10th anniversary of his death. Although he, as a philosopher, began with observing Western ancient philosophers` concept of art by searching the philosophy of Greeks, he had a keen interest in Korean arts that he faced. Yohan Joh sought the essay on art focusing on the works of art rather than theories while facing art. His association with Whanki Kim, a painter, Soonwoo Choi, an art historian or et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him think of art by focusing on the works of art. In addition, he was influenced from Yuseop Goh, an art historian and interested in Korean fine ar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dance performed by Sunghee Choi, a dancer, paintings by Angyoun and Jungsun, the shijo by Sammoon Seong and Paengnyun Park, the words by Jungcheol and etc. Yohan Joh made efforts to arrange the historicity of Korean aesthetic value. He abstracted the concepts of ‘asymmetry’ and ‘natural adaptation’ from the concept of ‘skills of non-skills’ in which Yuseop Goh mention Korean beauty and drew the concept of ‘excitement’ by considering that Korean culture had originated from Shamanism. Therefore, his such research was centered in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of art history that linked Korean art history and aesthetics. He attempted to the spirit penetrating a time in the flow of styles in Korean art history and insisted for the objectification through the comparison with surrounding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etc. as well a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rather than maintaining the identity by observing the flow of Korean art itself.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