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윤리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약 50년 역사에 불과하다. 환경윤리는 1979년에 국제학술지인 Environmental Ethics 창간되면서 비로소 정식 학술명칭으로 등장하였다. 1990년대에 본격적으로 환경윤리학이 국내에 소개되고, 자연적 존재에 도구적 가치만을 부여하는 서구의 인간중심적 환경윤리의 대안을 동양의 전통철학에서 찾으려는 움직임이 일자 국내의 학술계에서도 이에 상응하여 전통적인 동양철학의 세계관과 자연관을 기초로 새로운 환경윤리관을 소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중에서 유가철학 전공자들은 주로 ‘환경에 대한 유가의 이념을 어떻게 규정하는 것인가’에 관하여 집중적인 담론을 전개하였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한편으로는 지금까지 환경윤리에 관한 유가철학의 입장을 다시 한 번 성찰해보고, 다른 한편으로는 환경윤리 정립의 기본원칙과 방법론을 제시할 것이다. 왜냐하면 환경윤리는 응용윤리의 한 분야로서 유가철학의 이념을 현대의 환경문제에 적용하여 문제의 갈등에 대한 시비선악을 판단하고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시비선악을 판단하려면 윤리의 기본원칙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 원칙에 의거하여 방법론이 정립되어야 한다. 만일 지금처럼 유가의 자연관과 세계관을 근거로 윤리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고, 확장해야 한다는 당위성만을 강조하고, 이에 관한 철학적 근거만을 제시하는 것에 그친다면 유가의 환경윤리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인식전환만을 요청하는 단순한 계몽운동 차원에만 국한될 뿐 응용윤리 출현의 본래 목적과는 별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環境倫理學的討論始自1960年代後期, 其歷史不至50年. 1979年國際學術期刊Environmental Ethics創刊, 才正式爲這一項領域的學術硏究定名. 環境倫理學1990年代介紹於國內, 西歐以自然爲人類工具的價値的想法, 他們維持人類中心主義. 因此要把相反的觀點爪於東方的傳統哲學. 國內學術界相應於這潮流, 則根據於儒佛道的世界觀與自然觀, 指出領一種新的想法. 但目前爲止, 硏究儒家哲學者主要探究對於環境的儒家理念如何規定? 筆者在此論文, 一面省察到現在出現的儒家環境倫理學的種種觀點, 領一面要指出建立儒家環境倫理學之基本原則與其方法論. 環境倫理本屬於應用倫理的一個學術, 因此把儒家哲學的理念應用於現代的環境問題以判斷是非善惡, 竝解決此問題. 要判斷是非善惡, 必先建立決定是非善惡的基本原則, 又據於此原則指出方法論. 假如根據儒家哲學的自然觀與世界觀, 只肯定儒家倫理領域之擴張可能性, 强調擴張的當爲, 儒家的環境倫理只不過是要請人類對於自然的存在之認識轉換的啓蒙運動. 如此與應用倫理學之出現目的, 竝無本質的關係.